블로그 이미지
생각처럼

카테고리

전체보기 (209)
TOOL (1)
다이어리 (1)
Bit (200)
HELP? (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도메인 등록방법 및 국내 및 해외 도메인 등록업체 종류

제작한 홈페이지를 인터넷에서 운영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호스팅업체에서 제공하는 도메인(예:YourID.site.com)이 있지만 보기에도 좋지 않으며 호스팅을 옮겨야 할 경우 해당 도메인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기존의 도메인으로 방문하던 방문자와 링크를 모두 잃게 되게 됩니다. 단순한 연습용 홈페이지가 아니라면, 호스팅은 무료를 이용하게 되더라도 도메인만큼은 구입해 놓는게 좋습니다.

검색엔진의 관점에서 본다면 도메인은,

  • 새로 등록한 것보다는 오래된 것이 좋습니다.
  • 사이트의 핵심 키워드가 들어간 것이 좋습니다. 특히 불필요한 단어없이 검색어와 완전히 일치하는 도메인네임이 좋습니다.
  • 영어로 된 글로벌 사이트라면 gTLD(generic Top Level Domain)으로 ‘com’이 좋으며 ‘net’이나 ‘org’도 좋습니다.
  • 특정 국가의 도메인(ccTLD :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s)은 해당 국가내에서 검색시에 검색결과에서 조금 더 중요하게 봅니다. 즉 한글 홈페이지면 gTLD도 좋지만 co.kr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방문자의 입장에서는,

  • 짧고 간결하고 기억하기 쉬운 것이 좋습니다.
  • 사이트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도메인이 좋습니다.
  • 사이트 주소의 정확한 TLD가 기억이 나지 않을 때 com 이나 co.kr을 먼저 시도해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것들을 고려해서 도메인을 선택해야 하는데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도메인에 키워드를 사용 – 해당 키워드에 대해서 경쟁이 치열할 경우 사용하면 좋습니다.
  • 브랜드화된 도메인 사용 – 제작하려고 하는 홈페이지의 키워드가 뚜렷하지 않거나 여러가지일 경우 짧고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장기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하려고 할 때 적합합니다. google.com, yahoo.com, last.fm, mar.gar.in 등과 같은 사이트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등록방법 및 검색

종류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일반인이 접할 수 있는 도메인은 아래와 같이 크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 generic Top Level Domain) – 국가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도메인의 끝의 확장자가 한단어(TLD : Top Level Domain)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백개에 달하는 ccTLD와는 달리 그 수가 별로 많지 않습니다. com, org, net, info, edu, gov, int, mil, aero, biz, coop, museum, name, pro, cat, jobs, mobi, post, tel, travel, asia 정도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국가 최상위 도메인(ccTLD :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 – kr, us, uk, …와 같이 국가별로 주어진 도메인으로 co.kr, or.kr, go.kr, co.uk 와 같이 TLD 앞에 차상위 도메인(SLD : Second Level Domain)이 붙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도메인이 모두 등록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국가나, 특정 자격 조건에 의해 등록할 수 있는 것이 있고 없는 것도 있습니다. 한국에 거주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등록할 수 있는 도메인은 대락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 최상위도메인 – com, org, net, info, biz, name, mobi, tel, asia
  • 국가 최상위도메인 : 인구가 아주 적은 국가의 ccTLD의 경우에 사용 가능한 도메인이 많이 남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해당 국가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등록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 me, ms, gs, be, cc, ws, tv, bz, lu, mx, ly, am, fm, nu, la, io …
  • kr 도메인 – kr, co.kr, pe.kr

국내 도메인 등록업체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아이네임즈, 미리내, 블루웹 등 국내에는 많은 도메인 업체들이 있습니다. 따져 보면 비싼 곳도 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업체도 있고, 제공하는 서비스도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기능은 다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업체를 선택하더라도 사용에 별 지장은 없습니다. 해당 업체들에 대한 자세한 가격과 정보들은 이 페이지 상단에 있는 유,무료 도메인 메뉴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해외 도메인 등록업체

좀 더 다양한 국제 도메인을 원한다면 해외 도매인 등록업체를 알아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com, org, net, info 등의 도메인은 국내의 업체보다 저렴합니다. 결제는 보통 신용카드나 페이팔로 가능합니다. 페이지 상단에 있는 ‘유,무료 도메인’ 메뉴에 해외 도메인 업체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Godaddy.com – 국내에서도 널리 알려진 업체로 com, org, info, net 등의 도메인 가격이 싼 편입니다.
Moniker – 아주 다양한 도메인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1&1.com – 도메인과 호스팅을 동시에 이용할 경우 좋은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타 업체와 달리 주민등록증이나 여권같은 신분증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도메인 검색

도메인 검색은 도메인 등록기관(등록 대행 업체)를 통해서 가능하며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습니다. 각 업체마다 보통 아래 스크린샷과 같은 검색창이 있는데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등록가능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도메인 등록

도메인을 등록한다는 것은 해당 도메인을 일정기간 사용하겠다는 것을 뜻합니다. 영원히 자신의 소유가 되지 않습니다. 짧게는 1년 길게는 10년 정도의 기간이 가능하며, 만료기간이 되면 다시 연장이 가능하므로 소유기간을 짧게 해도 됩니다. 도메인 등록방법은 인터넷 쇼핑몰 결제보다 더 간단해서 특별히 설명할 부분이 없습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꼭 자신의 명의로 등록해야 합니다. 나중에 소유권을 변경하거나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낙장 도메인

도메인의 소유자가 만료일까지 도메인을 연장하지 않을 경우, 만료일이 끝나고 한달 정도 지나면 누구나 그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을 낙장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낙장도메인이 좋은 점은,

  • 만약 해당 도메인으로 실제로 사이트가 운영되었다면 다른 사이트로 부터 해당 도메인으로 링크가 많이 걸려 있을 수 있습니다.
  • 구글에 비해 야후나 msn 검색엔진의 경우 새로 등록한 도메인이 검색결과에 나오는데 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그리고 오래된 도메인이 검색결과에서 좀더 상위에 랭크될 수 있습니다. 잘 찾아보면 등록기간이 4~5년 이상인 낙장도메인이 꽤 있습니다.

낙장도메인의 정보는 등록업체에서 제공하기도 하며, nakjang.kr에서도 자세히 검색해 볼 수 있습니다. 좋은 도메인일 경우 경쟁이 치열해서 낙장 당일날 등록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등록업체에서 예약을 해 두는게 좋습니다. 이 경우 예치금으로 비용이 약간 더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경쟁이 치열한 도메인일 경우, 예약한다고 해서 반드시 등록되지는 않습니다. 등록실패의 경우는 대부분 환불은 안되고, 그 예치금으로 다른 도메인을 예약하거나 구매할 수 있습니다.

광고 없는 무료도메인

도메인 중에는 등록비용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대부분 이런 것들은, 네임서버 변경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포워딩만을 해주며, 또한 접속시 팝업창 같은 광고가 뜨는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무료 도메인 중에도, 아래와 같이, 네임서버를 지원하면서 광고도 없는 것들도 몇 개 있습니다. 페이지 상단에 있는 ‘유,무료 도메인’ 메뉴에 무료 도메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co.cc – 가장 유명한 무료도메인으로 국내업체입니다. 네임서버를 지원하며 광고도 없고, 일반 도메인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시에는 소액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cz.cc – 해외 업체로 co.cc와 비슷합니다. 아직까지는 무료라고 말하고 있지만 co.cc처럼 시간이 지나면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시 돈을 내야한다는 조건을 걸지도 모릅니다.
Tk – ‘yoursite.tk’와 같은 형식으로 도메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네임서버와 포워딩을 지원하고 한국어 설명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네임서버(DNS: Domain Name System) 변경하기

호스팅업체의 호스트는 숫자로 된 네자리의 고유주소(IP:Internet Protocol)를 가지고 있습니다. 도메인이 없어도 브라우저에 이 IP를 입력하면 자신의 호스팅으로 연결이 됩니다. 도메인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도메인을 구입한 후에는 사용하고 있는 호스팅업체의 호스트의 IP로 구입한 도메인을 연결해야합니다. 네임서버(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각각의 도메인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KR도메인의 경우 과거에는 네임서버 변경을 KRNIC 에서 했습니다. 지금은 등록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해당 호스팅업체의 네임서버로 바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우선 사용하고 있는 웹호스팅업체의 홈페이지로 가서 네임서버를 알아냅니다. 보틍은 왼쪽 그림처럼 사이트의 메인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 비상시를 대비해서 보통 네임서버 주소는 2~5개 정도가 됩니다.

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 주소를 야래 그림처럼, 도메인 등록업체의 네임서버 정보 관리창에 그대로 복사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네임서버가 도메인 등록기관에서 호스팅업체로 변경이 됩니다. 보통 1~3일 정도 후면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입력하면 자신의 호스팅으로 연결이 됩니다.

추후에 호스팅 업체를 바꾸게 될 경우, 위의 도메인 등록업체의 관리창에 그 호스팅업체의 네임서버로 변경해서 입력하면 호스팅업체를 바꾸더라도 똑같은 도메인으로 아무 이상없이 웹사이트를 계속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Posted by 생각처럼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