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생각처럼

카테고리

전체보기 (209)
TOOL (1)
다이어리 (1)
Bit (200)
HELP? (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WPF Architecture #3

Bit/WPF / 2012. 2. 3. 17:21

출처 Chul's blog time | Chuls
원문 http://blog.naver.com/silent1002/10084016909

최근 프로젝트로 인하여 별로 사용할 일이 없었던 WPF에 손을 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용했던 적이 없던 것이 아니지만.. Canvas를 이용해서 컨텐츠를 개발하는 정도가 고작이었던터라.. 나름대로 새롭게 공부할 필요를 느껴  서적을 들여다보니.. 아키텍처와 관련하여 아주 잘 정리된 내용이 있더군요. (검색을 통해서는 잘 알 수 없었던...)

 

언제나 느끼지만.. 플랫폼을 접할 때 그 플랫폼에서 개발을 어떻게 하는지만을 배울 것이 아니라.. 좀 더 근본적으로 그 플랫폼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알아가는 것이 먼저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이유로 WPF아키텍처에 대해서 제가 이해한 내용을 간단하게 포스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실제로 WPF 구조 이해에 도움이 될만한 간단한 실습(?)을 해볼 것입니다.

매우 간단하므로.. 너무 많은 기대를 가지지는 마시길 바라며 글을 작성합니다. ^^

 

 

이전 글을 아직 읽어보지 않으신 분은 아래 두 개의 글을 먼저 읽어보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PF Architecture를 비롯해  Dispatcher Object, Dependency Object에 대해서..

(http://blog.naver.com/silent1002/10083967513)

Visual과 UIElement, Framework Element, Control등에 대해서..

(http://blog.naver.com/silent1002/10083967248)

 

 

 

WPF 구조 이해에 필요한 간단한 실습

 

우선 간단하게 WPF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합니다.

 

솔루션 탐색기로 이동해 참조 부분에서

PresentationCore, PresentationFramework, WindowsBase 어셈블리가 있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PresentationCore, PresentationFramework, WindowsBase 어셈블리

 

 

 

 

 

어셈블리 살펴보기

PresentationCore, PresentationFramework, WindowsBase 어셈블리를 더블클릭 혹은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서 객체 브라우저로 살펴보도록 합니다.

 

 

버튼등의 간단한 컨트롤을 상속받은 클래스를 하나 생성해보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MyButton이라는 이름의 버튼을 상속받은 클래스를 하나 생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프로젝트에서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생성해보도록 합니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만들어 봅니다.

 

 

 

 

 

 

아래는 생성된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생성된 클래스 다이어그램 

 

 

 

 

여기서 MyButton 객체를 우클릭하여 기본 클래스를 표시해 보도록합니다.

여기서 직접 MyButton의 기본 클래스를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본 MyButton의 기본 클래스 

 

 

 

 

 

그리고 Button 클래스의 속성창을 직접 확인해봅니다.

 

 

 Button 클래스의 속성 

 

 

 

 

전체 이름과 파일 이름 항목을 확인하고 Object Browser정보와 직접 비교해 보도록합니다.

 

 

다음 사항들에 대해서 동일한 내용을 직접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 Visual < UI Element < Framework Element 순으로 상속됨을 직접 확인해보고..

- Framework Element와 UI Element를 확장해 속성중에 Resources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 또한 UI Element에는 Resources속성이 없으므로 자체 리소스를 UI Element 수준에서는 저장할 수 없다는 것 또한 확인해봅니다.

 

 

 

글의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매우 간단한 실습을 해보았지만.. WPF를 접한지 얼마 안되신 분들에게는 WPF구조를 이해하기에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글로 읽는 것과 실제로 가시화시켜 확인하는 것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번 포스팅에 이어서 XAML이라던지.. 종속성 속성 등 WPF기본적인 요소에 대해서 계속해서 포스팅해 나갈 생각입니다. WPF를 공부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계속해서 작성한다면.. Control을 제작한다거나.. Expression Blend등을 이용한 개발등에 대한 내용 또한 포스팅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들은 제가 직접 해봤던 부분들이기 떄문에 경험담을 토대로..)

 

아무튼 WPF 카테고리는 이런식으로 채워 나가게 될 것 같습니다. ^^

Posted by 생각처럼
, |

WPF Architecture

Bit/WPF / 2012. 2. 3. 17:21

출처 콜마의 닷넷 이야기 콜마
원문 http://blog.naver.com/lse805/50032691888

 


WPF Architecture

 

 

WPF Architecture는 상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과 하위의 DirectX와 플랫폼 계층

그리고 두 계층 사이에서 번역하는 계층 3 계층으로 분류 할수 있다. 

 

                

                                                                   -출처 msdn-

 

 

위의 이미지에서 PresentationFramework 와 PresentationCore는 직접 서비스를 노출하는 부분이며

순수한 managed API 형태로 구현 되어 있다. milcore는 DirectX 와의 상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unmaged code 로 구성되어져 있다. 

   

 

 

 

다음은 주요 class 의 계층도 이다.      

                                         -  출처  APress-

System.Threading.DispatcherObject

대부분의 WPF 객체들은 DispatcherObject에서 파생됩니다.  System.Windows.Threading 네임스페이스에DispatcherObject 가 위치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기존의 닷넷 스레드 프로그밍 모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이야기겠지요. WPF는 응용프로그램이 시적될때 UI를 제어하기 위한 스레드와 렌드링을 담당하는 스레드를 따로필요로 합니다 .

렌드링 스레드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이 되고 UI 스레드는 사용 입출력 제어 등을 처리한다. UI 스레드는 Work  Item을 Dispatcher라고 불리는 객체 안에 Queueing합니다. Dispatcher 는 우선 순위에 따라 작업을 수행합니다. UI 스레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Dispatcher를 가지고 잇습니다. 하나의 Dispatcher 는 하나의 스레드에만 포함 될수 있습니다.

DispatcherObject는 Dispatcher를 가진 스레드 안에서만 생성 될수 있고 DispatcherObject의 Dispatcher 속성을 통해 스레드의 Dispatcher와 연결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쉽게 스레드의 Dispatcher 와 DispatcherObject의 Dispatcher 가 동일한지 여부를 쉽게 비교 할수 있습니다. CheckAccess() 와 VerifyAccess() 메소드가 그런 역할을 담담합니다.

Dispatcher의 또다른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Dispatcher에 Invoke() 나 BeginInvoke()를 호출해 Work Item을 Queueing 할수 있다는 것이지요.

자세한 스레드 이야기는 다음에  한번 해야 겠군요.

 

System.Windows.DependencyObject

 

DependencyObject는 WPF의 Property System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객체입니다.

WPF의 Property System은   기존의 Prpperty와는 다른 향상된 시스템입니다. DependencyProperty class가 구현되어 있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지요. DependencyProperty는 기본값의 상속이나 값의 계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값의 변경에 따른 Notification 기능입니다.

 

WPF 속성 시스템의 설계 원칙은    메소드나 이벤트보다는 속성을 강조함으로써 데이터 중심,모델 중심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실제 구현된 클래스들의 단편적인 속성 숫자만 보아도 기존 시스템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보다 쉽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WPF의 속성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DependencyObject에서 상속 되어야만 합니다.

System.Windows.Media.Visual

 

Visual은 그리기 기능을 구현한 하나의 객체입니다. visual 객체는 그리기 명령과 렌드링을 위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visual 객체는 경랑이고 Composition 형태의 트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Visual은  WPF 컴포지션 시스템의 진정한 진입점입니다. 두 하위 시스템인 관리되는 API와 관리되지 않는 milcore 사이의 연결 지점입니다.

 

WPF의 핵심 방법은 보다 선언적인 "속성 중심의" 프로그래밍 모델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시각적 시스템에서는 두 가지 흥미로운 장소에서 이러한 이동이 눈에 띕니다.

첫째, 유지된 모드 그래픽 시스템을 고려해 보면 명령적 DrawLine/DrawLine 형식 모델에서 데이터 지향 모델인 new Line()/new Line()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데이터 중심 렌더링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속성을 사용하여 그리기 지침에 대한 복잡한 작업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Drawing 에서 파생되는 형식은 실제로 렌더링해야 할 개체 모델입니다.

둘째,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평가할 경우 거의 모든 내용이 선언적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다음 위치 또는 다음 색상을 계산하도록 하는 대신 애니메이션을 애니메이션 개체의 속성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이 애니메이션은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의 의도(예: 5초 이내에 이 단추를 다른 곳으로 이동)를 표현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이를 완료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System.Windows.UIElement

 

UIElement는 는 레이아웃, 입력 및 이벤트를 비롯한 핵심 하위 시스템을 정의합니다.

 

레이아웃을 정의하기 위해 두 가지 기본 개념 원칙을 제시합니다.

Measure 와 Arrange 입니다 . 크기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Measure 라는 개념을 위치와 정렬을 위해서는 Arrang라는 개념을 적용합니다. 또한 WPF 의 특징인 속성 위주로 정의를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보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구조를 가능하게 합니다. 부모의 객체가 자식 객체를 배치하고 크기를 결정 할수 있는 시스템이 됩니다.

 

 

입력은 커널 모드 장치 드라이버의 신호로 시작되며 Windows 커널 및 User32가 관련된 복잡한 프로세스를 통해 올바른 프로세스 및 스레드로 라우트됩니다. 입력에 해당하는 User32 메시지가 WPF로 라우트되면 WPF 원시 입력 메시지로 변환되고 디스패처로 전송됩니다. WPF는 원시 입력 이벤트를 여러 개의 실제 이벤트로 변환하여 "MouseEnter"와 같은 기능이 시스템의 낮은 수준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경우 이러한 기능의 배달이 보장됩니다

 

이러한 터널링 단계와 버블링 단계 간의 구분으로 인해 컴포지션 영역에서 키보드 액셀러레이터 같은 기능이 일관된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User32에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모든 가속기를 포함하는 단일 글로벌 테이블을 보유하여 키보드 액셀러레이터를 구현합니다(예: "새로 만들기"에 Ctrl+N 매핑).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패처에서는 User32의 입력 메시지를 탐지하고 등록된 액셀러레이터와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TranslateAccelerator를 호출합니다. WPF에서는 시스템이 완전히 "구성 가능"하기 때문에, 즉 모든 요소가 키보드 액셀러레이터를 처리하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입력에 이 2단계 모델을 사용하면 구성 요소가 자체적인 "TranslateAccelerator"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UIElement는 CommandBindings라는 개념도 도입합니다. WPF 명령 시스템에서는 개발자가 명령 끝점의 측면에서 기능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ICommand를 구현하는 기능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명령 바인딩을 통해 요소가 입력 제스처(예: Ctrl+N)와 명령(예: 새로 만들기) 사이의 매핑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제스처와 명령 정의는 모두 확장이 가능하며 사용 중에 함께 연결될 수 있습니다. 최종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할 키 바인딩을 사용자 지정하는 작업 등이 간단해집니다.

 

                                                          -msdn-

 

win32 시스템과는 중요한 차이점은 WPF UIElement 는 자체적으로 입력 이벤트를 각각 처리 할수 있다는 것이지요. 또한 입력 제스처와 처리하는 Command 가 완전히 분리 되는 것이지요 두개를 합치는 과정을 바인딩이라 칭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이제 커맨드 명령을 입력 제스처에 관계 없이 정의 하는 것이 가능 해졌습니다. 재사용 이라는 측면에서도 강력해졌습니다.

 

 

System.Windows.FrameworkElement

 

FrameworkElement는 WPF 가 제공하는 layer 시스템의 API 를 제공하고 사용자 정책을 등을 쉽게 제공 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데이터 바인딩과 style은 FrameworkElement 단계에서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WPF에서 데이터 바인딩의 가장 흥미로운 기능 중 하나는 새로 도입된 데이터 템플릿입니다. 데이터 템플릿을 사용하면 어떤 데이터 조각을 시각화해야 하는지를 선언적으로 명시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에 바인딩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대신 역으로, 생성될 디스플레이를 데이터가 결정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 지정은 실제로는 데이터 바인딩의 간단한 형태입니다. 스타일 지정을 사용하면 공유된 정의에 있는 속성 집합을 하나 이상의 요소 인스턴스에 바인딩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은 명시적 참조 Style 속성 설정를 통해 또는 스타일과 요소의 CLR 형식을 연결하는 암시적 방법을 통해 요소에 적용됩니다.

 

               -msdn-

 

데이타 템플릿을 이용하면 데이터 조각을 디스플레이 할 내용을 리소스로 저장하고 재사용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쉽게 교체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디스플레이 할 부분이 쉽게 교체하거나 재정의 할수 있습니다. style은 일종의 단순화 된 데이타 바인딩입니다.

 

 

System.Windows.Controls.Control

컨트롤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템플릿 설정입니다. WPF의 컴포지션 시스템을 유지된 모드 렌더링 시스템으로 생각하는 경우에는 템플릿 설정을 통해 컨트롤이 매개 변수가 있는 선언적 방식으로 렌더링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은 실제로는 자식 요소 집합을 만들기 위한 스크립트가 컨트롤에 의해 제공되는 속성에 대한 바인딩과 결합된 것일 뿐입니다.

 

 

Padding 등의 스톡 속성 집합을 제공합니다. 템플릿 제작자는 이러한 속성 집합을 사용하여 컨트롤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 구현은 데이터 모델 및 상호 작용 모델을 제공합니다. 상호 작용 모델은 명령 집합(예: 창 닫기)과 입력 제스처에 대한 바인딩(예: 창의 위쪽 모서리에 있는 빨간색 X 클릭)을 정의합니다. 데이터 모델은 상호 작용 모델을 사용자 지정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 지정하기 위한 속성 집합을 제공합니다. 사용자 지정 대상은 템플릿에 의해 결정됩니다.

 

데이터 모델(속성), 상호 작용 모델(명령 및 이벤트) 및 디스플레이 모델(템플릿)이 이렇게 구분됨에 따라 컨트롤의 모양 및 동작을 완전히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 데이터 모델의 공통적인 측면은 콘텐츠 모델입니다. Button 같은 컨트롤에서 형식의 "Content"라는 속성을 볼 수 있습니다. Windows Forms 및 ASP.NET에서 이 속성은 일반적으로 문자열이지만 단추에 입력할 수 있는 콘텐츠 유형이 제한됩니다. 단추의 콘텐츠는 간단한 문자열, 복잡한 데이터 개체 또는 전체 요소 트리일 수가 있습니다. 데이터 개체의 경우 데이터 템플릿이 사용되어 디스플레이를 구성합니다.

 

Fin.


Posted by 생각처럼
, |

WPF 개요

Bit/WPF / 2012. 2. 3. 17:21

출처 콜마의 닷넷 이야기 콜마
원문 http://blog.naver.com/lse805/50032688468

   

WPF 개요

 WPF는 닷넷을 위해 디자인 된 새로운 Graphic Display System입니다. Windows Disaplay 시스템의 역사에서 가장 큰 변화 일 것입니다.

 

Windows Graphics의 이해

 

WPF 출현 이전에 Windows OS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기술에 바탕을 두었습니다. Windows 첫 출시 때부터 지금까지 사용되어져 오고 있습니다.

 

 

    • User32는 익숙한 Windows 버턴 , 텍스트 박스등의 룩앤필 요소들을 제공해

      줍니다

 

    • GDI/GDI+는 shape,text,image 등을 그리기 위해 지원되는 기능입니다. 다소

       복잡한  면이 있습니다.닷넷에서 사용되었던 그리기 기능은 GDI+ 였지요  

 

두 기술이 소개 된 것은 Windows 3.0과 함께 입니다.꽤 시간이 흘렀지요.그동은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효울성과 성능이 향상되고 복잡성이 감소되었습니다.

MFC, Visual Basic , 닷넷 등에서 사용되어졌습니다. 긴 시간 동안 사용되어져 왔지만 시스템 컴포넌트 들이 지니는 한계를 벗어나기는 힘들었습니다.

   

 

     • DirectX는 Windows 플랫폼에서 게임을 작성하기 위한 툴킷으로

        개발되었습니다.

 

DirectX 는 우수한 Speed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되어졌습니다. 그래픽 카드 제조회사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해 복잡한 texture, 효과 , 투명 표현 ,3차원 등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입니다.

 

DirextX는  Windows 95가 출시되고 멀지 않아 시장에 소개되었습니다. 검증되고 성숙된 기술입니다. 게임 개발자들에겐 유용한 툴킷입니다. 하지만 API의 복잡성 때문에 Windows Application을 작성하는 데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WPF는 많은 변화를 시도합니다. WPF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는데 GDI/GDI+를 사용하지 않고 WPF를 사용합니다. 복잡한 3차원 도형이나 투명효과 등을 비지니스 응용 프로그램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픽 작업에 필요한 많은 부하를 그래픽 카드에서 처리 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GDI/GDI+ 에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복잡한 그래픽 효과가 필요할 때 WPF가 더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Windows 응용 프로그램에 다양한 효과를 줄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WPF 기능은 DirectX에서 이루어집니다.

 

WPF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제공합니다.

 

     • Web 모델의 Layout

        고정된 좌표에 컨트롤을 고정시키지 않고 유연한 flow layout를 지원합니다

 

     • Rich Drawing Model

        픽셀 단위의 페인팅보다는 shape , text block 으로 Drawing을 하고

        투명 등의 보다 다양한 효과를 지원합니다.

 

     • Rich Text Model

         WPF에서 Text는 Wrapping,floating, Cloumn 등 다양하고 새로운 기능을

         소개합니다

 

     • Animation

          Animation 기능을 지원해 액션을 표현 할수 있습니다.

           WPF 이전에는 타이머를 이용하는 수 밖에 없었지요

 

     • Audio 와 Video Media 지원

           WPF 이전에는 극히 제한적이던 멀티미디어 지원이 향상 되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면에 Video를 랜드링 할 수 있습니다.

  

     • Style 과 Template

           Style은 표준화 된 형식과 으용프로그램에서 재사용을 지원합니다.

            Template은 컨트롤의 렌드링을 변경 하는 방법을 지원합니다.

           심지어 버턴과 같은 코어 컨트롤에서도 가능합니다.

 

     • Commands

            메뉴나  툴바등을 이용하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느길 수 있습니다

            Commands를 이용하면 application Command를 추상화하고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irective User Interface

             마크업 태그를 이용해 디자인을 로직과 분리 할수 있습니다.

             WPF 이전에는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을 디자인 하기 위해

             디자이너들이  사용할수 있는 도구는 없엇습니다.

 

      • Page Based Application 지원

            웹응용프로그램 처럼 페이지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지원 합니다.

 

WPF는 기존의 Windows application 과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성능면에서 많은 향상이 있습니다. 기존 Windows 응용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는 또다른 학습 부담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Posted by 생각처럼
, |

미라지를 롬업해보자.....제1탄 - 롬 덤프하기 & oem 불필요 파일 삭제

| 
미라지를 언 11개월을 사용하면서 여러고수님들의 글과 조언을 무기삼아
롬업과 세팅을 밥먹듯이 하며 내가 그랬듯 이제 막 커스텀롬이라는 영역에 재미를 붙인
유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여 커스텀롬 과정을 내가 해본 경험으로 작성해 보았다.
글보다는 그림을 많이 삽입하여 직접 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일단 제가 글을 통해 작성할 과정

1. 롬 덤프하기 oem 파일 삭제하기
2. 패키지 추가하기
3. 레지스트리 등록하기 & 숏컷 등록하기
4. 롬 빌드하기 & 페이징풀 적용하기
5. 롬업하기

가장 기초적인 부분만을 다룬 이유는 더 이상 깊이 들어가면 미천한 내 실력이 모자라서..... ㅋㅋㅋ
혹시 모를 오류로 인한 원성을 사지 않을까하는 기우의 산물정도..........

주의 사항

여기서 내가 사용중인 sch-m480 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다른 유사 스마트폰도 방법만 달리할 뿐 매우 유사하다.
해서 여러가지를 다루기 보단 내가 계속 사용하던 sch-m480 만을 다루는 것이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다른 스마트폰은 알지도 못하거니와 언급하지 못할 것이고 또 질문을 들어와도  답변드리지 못하는 많은 부분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커스텀롬을 제작하며 생기는 오류는 분명 본인이 책임을 져야하는 부분이라는 것을 상기하자!!!!!!!!!!!!

커스텀롬 제작 시 기본 조건

1. 건달님께서 공개해주신 유틸 대부분은 xp에서 동작된다.
2. 액티브 싱크 시 하드웨어의 이상유무를 충분히 확인(케이블, usb 단자,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다른 기기와 병용하지 않는지 확인)
3. 스마트 폰 카페 http://cafe.naver.com/bjphone.cafe 의 링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충분한 등급이 되어야지만 무난한 따라하기가 가능하다.
4.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실시간 보호를 해제한다.
5. 폴더옵션의 보기메뉴에서 알려진 확장자명 보이지 않기 를 해제한다.

제1탄 롬 덤프하기 & oem 불필요 파일 삭제

미라지용 롬키친 툴 다운받기
http://cafe.naver.com/bjphone/280763
미라지 최신롬 다운받기 M480 CF30 롬
http://211.189.38.83/umsvcbin/SCH-M480/SCH-M480_CF30_PDA.bin

1. 롬키친툴과 미라지 순정롬을 다운 받은 후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 폴더를 연다(폴더에 순정롬을 넣어놓았다.)
 
 

2. ★ROM 폴더에 SCH-M480_CF30_PDA.bin 파일을 옮기고 SCH-M480_PDA.bin 파일을 삭제한다.


3. 옮겨놓은 SCH-M480_CF30_PDA.bin 파일을 SCH-M480_PDA.bin 로 이름 바꾸기를 한다.


4. SCH_M480_ROMKitchen 상위로 이동 1.ROM_DUMP.cmd 파일을 실행


5.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ENTER


7.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ENTER


8. SCH_M480_ROMKitchen 폴더에 dump 폴더가 생성된다.


9. dump-OEM- OEMApps 폴더로 이동 불필요한 파일들을 삭제한다
주의해서 본인 불필요 하다는 파일만 골라 삭제해야 한다...
오페라 - opactivex.dll opera6.adr Opera.bib opera.gif opera.ini Opera.reg OperaBrowser OperaLaunch.exe OperaWM.exe
WIPI - WIPI.lnk  SKT WIPI.exe WIPI_BG.bmp WIPI_down.bmp WIPI_left.bmp WIPI_ok.bmp WIPI_right.bmp WIPI_up.bmp WIPISOI12.dll 
Mini Player- Mini Player.lnk Mini Player.exe
Google - Google.lnk Google.exe google-logo.gif
IPhoneBook - IPhoneBook.lnk IPhonebook.exe
삼성투데이 1 - E_Today.dll E_Today_AddDlg.exe E_Today_ContactsDisplay.exe E_TodayOption.exe E_TodayRes128.dll
삼성투데이 2 - EZToday2.dll EZToday2Res.dll EZTodayFavorites.exe EZTodayOption.exe
sk e-mail 어플 - e-mail.lnk, e mail.exe
알람관련- AlarmManager.lnk, AlarmManager.exe, Alarms.lnk, Alarms.exe, AlarmScheduler.lnk, AlarmScheduler.exe
PhotoSlides - PhotoSlides.lnk PhotoSlides.320x320.dll PhotoSlides.AllModel.dll PhotoSlides.exe PhotoSlides.exe.0412.mui
RecoverRings - RecoverRings.lnk RecoverRings.exe
RingtoneManager - RingtoneManager.lnk RingtoneManager.exe RingToneTester.exe
TouchPlayer - TouchPlayer.lnk TouchPlayer.exe TouchPlayerRes.dll
TimeManager - TimeManager.lnk  TimeManager.exe
TinyAM - TinyAM.lnk TinyAM.exe
10. 각종 *.wav 파일을 무음파일로 교체한다....01.wav  02wav, 03wav 파일은 문자음이다....
11. OEM-OEM_Lang_0412 폴더로 이동 initflashfiles.da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아래해당 영역을 삭제한다.
삭제를 하 한 후 메모장의 다른이름으로 저장한다. 
OEM-OEM_Lang_0412 폴더의 initflashfiles.dat  기존파일을 삭제한다.
다른이름으로 수정 저장한 파일을 initflashfiles.dat  이름으로 바꾸어 OEM-OEM_Lang_0412 폴더에 넣는다.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xBD04\x002E\x006A\x0070\x0067","\Windows\Spring.jpg")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xD480\x002E\x006A\x0070\x0067","\Windows\Grass.jpg")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xC78E\x002E\x006A\x0070\x0067","\Windows\Leaf.jpg")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xBB3C\x002E\x006A\x0070\x0067","\Windows\Water.jpg")



; -- OPERA ---------------------------------------------------------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Opera.lnk","\Windows\OperaBrowser.lnk")
Directory("\Application Data"):-Directory("Opera")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opera6.adr", "\Windows\opera6.adr")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opera.ini", "\Windows\opera.ini")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kr.js", "\Windows\kr.js")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ko.lng", "\Windows\ko.ln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input.ini", "\Windows\input.ini")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html40_entities.dtd", "\Windows\html40_entities.dtd")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english.lng", "\Windows\english.ln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File("chartables.bin", "\Windows\chartables.bin")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Directory("Help")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Directory("imgcss")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imgcss"):-File("top.png", "\Windows\top.pn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imgcss"):-File("logo.png", "\Windows\logo.pn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imgcss"):-File("help.css", "\Windows\help.css")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imgcss"):-File("bullet.gif", "\Windows\bullet.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imgcss"):-File("background.png", "\Windows\background.pn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Directory("ko")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ko"):-File("troubleshoot.html", "\Windows\troubleshoot.html")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ko"):-File("start.html", "\Windows\start.html")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ko"):-File("interface.html", "\Windows\interface.html")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Help\ko"):-File("index.html", "\Windows\index.html")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Directory("skin")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kin"):-File("windows_skin.zip", "\Windows\windows_skin.zip")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kin"):-File("standard_skin.zip", "\Windows\standard_skin.zip")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Directory("startpage")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File("home.html", "\Windows\home.html")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Directory("css")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css"):-File("home.css", "\Windows\home.css")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Directory("im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yahoo_search_logo.gif", "\Windows\yahoo_search_logo.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g-logo.gif", "\Windows\g-logo.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google-logo.gif", "\Windows\google-logo.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web.gif", "\Windows\web.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rtlarrow.gif", "\Windows\rtlarrow.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report.gif", "\Windows\report.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opera.gif", "\Windows\opera.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ologo.png", "\Windows\ologo.png")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info.gif", "\Windows\info.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headbg.gif", "\Windows\headbg.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artpage\img"):-File("arrow.gif", "\Windows\arrow.gif")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Directory("styles")
Directory("\Application Data\Opera\styles"):-File("wml.css", "\Windows\wml.css")

Directory("\Program Files"):-Directory("Opera")
Directory("\Program Files\Opera"):-File("zip.dll", "\Windows\zip.dll")
Directory("\Program Files\Opera"):-File("xmlparse.dll", "\Windows\xmlparse.dll")
Directory("\Program Files\Opera"):-File("OperaWM.exe", "\Windows\OperaWM.exe")
Directory("\Program Files\Opera"):-File("OperaLaunch.exe", "\Windows\OperaLaunch.exe")




;------------------ Alarm Scheduler -------------------------------------------
;IF BSP_NOALARMS !
;{BEGIN MULTILANG}
    ;Directory(LOC_%LANGID%_DIRWINDOWSSTARTUP):-File("AlarmScheduler.lnk", "\windows\AlarmScheduler.lnk")
;
;IF _IMAGELANGIDLIST=0409
    ;Directory(LOC_%LANGID%_DIRWINSTMNPROG):-File("Alarms.lnk", "\Windows\Alarms.lnk")
;ENDIF ;_IMAGELANGIDLIST=0409
;
;IF _IMAGELANGIDLIST=0412
;; gosanjok
;;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Alarms.lnk", "\Windows\Alarms.lnk")
;ENDIF ;_IMAGELANGIDLIST=0412
;{END MULTILANG}
;ENDIF ;BSP_NOALARMS !

-- TouchPlayer ----------------------------------------------------------------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D130\xCE58\x0020\xD50C\xB808\xC774\xC5B4\x002E\x006C\x006E\x006B", "\Windows\TouchPlayer.lnk")
;-------------------------------------------------------------------------------


;----------------------------Mini Player added by eunah36.lee------------------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Mini Player.lnk", "\Windows\Mini Player.lnk")


-- Ringtone Manager -------------------------------------------------------------------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BCA8\xC18C\xB9AC\xBCF4\xAD00\xD568\x002E\x006C\x006E\x006B","\Windows\RingtoneManager.lnk")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File("RecoverRings.lnk","\Windows\RecoverRings.lnk")
;-------------------------------------------------------------------------------

; ----- PhotoSlides -----------------------------------------------------------
;{SKIPLANG 0C0A}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Directory("\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D3EC\xD1A0\xC2AC\xB77C\xC774\xB4DC\x002E\x006C\x006E\x006B", "\Windows\PhotoSlides.lnk")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photo01.jpg","\windows\photo01.jpg")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photo02.jpg","\windows\photo02.jpg")
    Directory("\x005C\x004D\x0079\x0020\x0044\x006F\x0063\x0075\x006D\x0065\x006E\x0074\x0073\x005C\xB0B4\x0020\xADF8\xB9BC"):-File("photo03.jpg","\windows\photo03.jpg")
; gosanjok
;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exe.0404.mui","\windows\PhotoSlides.exe.0404.mui")
;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exe.0409.mui","\windows\PhotoSlides.exe.0409.mui")
;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exe.0804.mui","\windows\PhotoSlides.exe.0804.mui")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exe.0412.mui","\windows\PhotoSlides.exe.0412.mui")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exe","\windows\PhotoSlides.exe")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H3ImageCEDll.dll","\windows\H3ImageCEDll.dll")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AllModel.dll","\windows\PhotoSlides.AllModel.dll")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SlideShow.exe","\windows\SlideShow.exe")
    Directory("\x005C\x0050\x0072\x006F\x0067\x0072\x0061\x006D\x0020\x0046\x0069\x006C\x0065\x0073\x005C\x0050\x0068\x006F\x0074\x006F\x0053\x006C\x0069\x0064\x0065\x0073"):-File("PhotoSlides.320x320.dll","\windows\PhotoSlides.320x320.dll")
    Directory("\Windows\PhotoSlides"):-File("A secret Place.mp3","\windows\A secret Place.mp3")
    Directory("\Windows\PhotoSlides"):-File("For lovely eyes01.mp3","\windows\For lovely eyes01.mp3")
    Directory("\Windows\PhotoSlides"):-File("Night of Rio.mp3","\windows\Night of Rio.mp3")
    Directory("\Windows\PhotoSlides"):-File("Still warm.mp3","\windows\Still warm.mp3")



;------------------- My Music -------------------------------------------------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00 Female.mp3","\Windows\00 Female.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00 Male.mp3","\Windows\00 Male.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02_Only A Woman's Heart.mp3","\Windows\02_Only A Woman's Heart.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04 Over the Rainbow.mp3","\Windows\04 Over the Rainbow.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08 WITHOUT YOU.mp3","\Windows\08 WITHOUT YOU.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10 More Its Love.mp3","\Windows\10 More Its Love.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Mrs Robinson - I'm A little Obsessed01[320x240].mp4","\Windows\Mrs Robinson - I'm A little Obsessed01[320x240].mp4")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song 6.mp3","\Windows\song 6.mp3")
Directory("\My Documents\My Music"):-File("The Lord of Rings.mp3","\Windows\The Lord of Rings.mp3")



;-- WorldClock -----------------------------------------------------------------
;IF BSP_CARRIER_SKT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C138\xACC4\xC2DC\xAC04\x002E\x006C\x006E\x006B","\Windows\WorldClock.lnk")
;ENDIF ; IF BSP_CARRIER_SKT
;-------------------------------------------------------------------------------
;-- TimeManager (windmaker)-----------------------------------------------------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File("AlarmManager.lnk","\Windows\AlarmManager.lnk")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C54C\xB78C\x0020\xBC0F\x0020\xC2DC\xAC04\x002E\x006C\x006E\x006B","\Windows\TimeManager.lnk")
;IF BSP_CARRIER_SKT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C54C\xB78C\x002E\x006C\x006E\x006B","\Windows\MorningCall.lnk")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AE30\xB150\xC77C\x002E\x006C\x006E\x006B","\Windows\DDay.lnk")
;ENDIF ; BSP_CARRIER_SKT
;IF BSP_CARRIER_KTF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C54C\xB78C\x0020\xBC0F\x0020\xC2DC\xAC04\x002E\x006C\x006E\x006B","\Windows\TimeManager.lnk")
;ENDIF ; BSP_CARRIER_KTF



;-- email -----------------------------------------------------------------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e-mail.lnk","\Windows\e-mail.lnk")
;-------------------------------------------------------------------------------



;-- WIPI -----------------------------------------------------------------------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Directory("mPlayOn")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x005C\x006D\x0050\x006C\x0061\x0079\x004F\x006E"):-File("mPlayOn.lnk","\Windows\mPlayOn.lnk")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File("TinyAM.lnk","\Windows\TinyAM.lnk")


;-- IPhoneBook - ¹ÚÁÖÇÏ-----------------------------------------------------------------
Directory("\x005C\x0057\x0069\x006E\x0064\x006F\x0077\x0073\x005C\xC2DC\xC791\x0020\xBA54\xB274\x005C\xD504\xB85C\xADF8\xB7A8"):-File("\xC804\xD654\xBC88\xD638\xBD80\x002E\x006C\x006E\x006B","\Windows\IPhone

Posted by 생각처럼
, |
1. 롬 덤프하기 oem 파일 삭제하기
2. 패키지 추가하기
3. 레지스트리 등록하기 & 숏컷 등록하기
4. 롬 빌드하기 & 페이징풀 적용하기
5. 롬업하기

가장 기초적인 부분만을 다룬 이유는 더 이상 깊이 들어가면 미천한 내 실력이 모자라서..... ㅋㅋㅋ
혹시 모를 오류로 인한 원성을 사지 않을까하는 기우의 산물정도..........

주의 사항

여기서 내가 사용중인 sch-m480 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다른 유사 스마트폰도 방법만 달리할 뿐 매우 유사하다.
해서 여러가지를 다루기 보단 내가 계속 사용하던 sch-m480 만을 다루는 것이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다른 스마트폰은 알지도 못하거니와 언급하지 못할 것이고 또 질문을 들어와도  답변드리지 못하는 많은 부분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커스텀롬을 제작하며 생기는 오류는 분명 본인이 책임을 져야하는 부분이라는 것을 상기하자!!!!!!!!!!!!

커스텀롬 제작 시 기본 조건

1. 건달님께서 공개해주신 유틸 대부분은 xp에서 동작된다.
2. 액티브 싱크 시 하드웨어의 이상유무를 충분히 확인(케이블, usb 단자,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다른 기기와 병용하지 않는지 확인)
3. 스마트 폰 카페 http://cafe.naver.com/bjphone.cafe 의 링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충분한 등급이 되어야지만 무난한 따라하기가 가능하다.
4.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실시간 보호를 해제한다.(롬덤프와 롬빌드 시에만 해제)
5. 폴더옵션의 보기메뉴에서 알려진 확장자명 보이지 않기 를 해제한다.
6. 폴더옵션의 보기메뉴에서 숨김파일 및 폴더표시 체크를 한다.

=====================================================
롬에 필요한 어플을 넣는 방법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 집니다.
방식의 차이가 있을뿐 기본방법은 동일한 원리입니다.

1. 실행파일만으로 구동 가능한 어플은 \dump\OEM\OEMApps 폴더에 직접 넣어주는 방식
2. storage card 에 실행파일을 넣어 놓고 바로가기(숏컷 / *.lnk) 파일만 롬에 넣어주는 방식
3. 패키지화 하여 롬에 넣어주는 방식

1. 실행파일만으로 구동 가능한 어플
미라지에 어플을 설치하다보면 간혹 실행파일만으로 구동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있습니다.
이런 어플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카무카님의 설명이 너무나도 잘 되어있습니다.
http://cafe.naver.com/bjphone/316833
이런 종류의 파일들은 굳이 롬에 넣지 않아도 되지만 사용빈도수와 편리성을 위해
본인의 롬에 넣고자 하신다면 \dump\OEM\OEMApps 폴더에 직접 넣어주고
롬 빌드를 하게되면 미라지의 \Winndows 에 넣어지게 됩니다.

2. storage card 에 실행파일을 넣어 놓고 바로가기(숏컷 / *.lnk) 파일만 롬에 넣어주는 방식
이부분도 무카무카님의 설명을 잘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http://cafe.naver.com/bjphone/316833
3. 패키지화 하여 롬에 넣어주는 방식
이부분이 이번 강좌에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이며 모든 롬빌드 시에 한번이상은 필요한 작업입니다.

일단 두가지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진행하겠습니다.

첫 어플

레지스트리가 등록되어지고 바로가기가 없는 어플
nuenobar(v1.3).cab 어플(미라지의 하단바를 없애는 어플리케이션)

\SCH_M480_ROMKitchen\★CAB 폴더에 nuenobar(v1.3).cab 파일을 넣습니다.(편의상 다른곳에 넣어도 됩니다.)

ⓐ \SCH_M480_ROMKitchen\Tools 폴더로 이동합니다.


ⓑ \SCH_M480_ROMKitchen\Tools\pkgCreate 폴더로 이동합니다.


ⓒ \SCH_M480_ROMKitchen\Tools\pkgCreate "packages creator 5.4.exe" 실행합니다.


ⓓ Open cab file 버튼을 클릭합니다.


ⓔ \SCH_M480_ROMKitchen\★CAB 폴더에 nuenobar(v1.3).cab 파일을 찾아 "open"  클릭합니다.


ⓕ 아래와 같이 나오면 화살표 버튼을 클릭합니다.


ⓖ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 CLOSE 창을 닫습니다.


ⓘ 위 창이 닫히고 아래와 같은 창이 보이면 "DONE" 버튼을 클릭합니다.


ⓙ 아래의 화면이 나오면 DSM 파일과 RGU 파일을 확인하고 화살표 "COMPLETE PACKAGE" 버튼클릭


ⓚ 아래와 같이 나오면 CAB 파일 추출은 끝납니다. "OK" 버튼클릭 후 창을 닫습니다.


ⓛ \SCH_M480_ROMKitchen\★CAB 폴더로 이동해 보시면 추출되어진 nuenobar(v1_3) 폴더가 보입니다.


ⓜ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합니다.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어 놓으시면 편하겠죠! ㅋㅋㅋ 


ⓝ 왼편 트리에서 \SCH_M480_ROMKitchen\★CAB\nuenobar(v1_3)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펼쳐 둡니다.


ⓞ \SCH_M480_ROMKitchen\Tools 폴더를 클릭하고 
nuenobar(v1_3) 폴더채 드래그 하여 BuildDsm.exe 파일위에 얹어 실행시킵니다.


ⓟ 아래 화면이 나오면 엔터


ⓠ 완성되어지 nuenobar(v1_3) 패키지 파일폴더를 \SCH_M480_ROMKitchen\★Packages 폴더로 이동시키고
폴더을 열어봅니다. *.dsm file 이 "0KB" 가 아니면 성공적으로 패키지가 등록된 것입니다.


ⓡ *.RGU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봅니다. 롬업 후 미라지에 등록되어 질 레지스트리 구조입니다.
확인이 다 되었으면 완성입니다....




두번째 어플 DialoWM5.CAB 연락처 검색 어플입니다.
ⓐ~ⓗ 까지의 과정은 위와 동일합니다.

ⓐ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붉은 색부분을 클릭 실행파일의 위치를 확인 "Apply" 버튼을 클릭


ⓑ 붉은색의 숏컷 파일생성을 확인 후 "Done" 버튼을 클릭


ⓒ DSM 파일과 RGU 파일을 확인하고 화살표 "COMPLETE PACKAGE" 버튼클릭


ⓚ~ⓟ 까지의 과정은 위와 동일합니다.
ⓓ 완성되어지 DialoWM5 패키지 파일폴더를 \SCH_M480_ROMKitchen\★Packages 폴더로 이동시키고
폴더을 열어봅니다. *.dsm file 이 "0KB" 가 아니면 성공적으로 패키지가 등록된 것입니다.


 *.exe 파일과 *.html 위에는 없지만 *.dll 파일등은 앞에 000 이 붙습니다.
이유는 다른 패키지 파일과 같은이름이 있을경우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섞일 염려가 없다면 000 을 지우고(이름바꾸기)  아래의 과정을 한번더 반복합니다.

=========================================
ⓞ \SCH_M480_ROMKitchen\Tools 폴더를 클릭하고 
nuenobar(v1_3) 폴더채 드래그 하여 BuildDsm.exe 파일위에 얹어 실행시킵니다.
*.rgu 파일은 미라지 레지스트리에 등록이 없다면 메모장으로 열었을 경우 빈파일로 구성될 수도 있습니다.
=========================================

ⓔ \DialoWM5 폴더의 initflashfiles.tx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아래와 같이 보이면 000 을 지우고 이름바꾸기 를 했던 파일명이 보입니다.
바꾸었던 이름으로 바꾸어 줍니다.


★ initflashfiles.txt  파일 보기
1 Directory("\Program Files\"):-Directory("Dialo")
내용은 \Program Files\ 내에 Dialo 폴더를 만드는 내용
2 Directory("\Program Files\Dialo"):-File("Dialo.exe","\windows\Dialo.exe")
내용은 \Program Files\Dialo  폴더내에  Dialo.exe 복사해 넣으라는 내용
3 Directory("\Program Files\Dialo"):-File("Dialo.html","\windows\Dialo.html")
내용은 \Program Files\Dialo  폴더내에  Dialo.html 복사해 넣으라는 내용  

여기서 수정 해야 할 사항 위의 123  폴더를 새로 만들고 그 폴더에 복사해 넣으라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미 \Windows 폴더내에 위의 파일들이 롬빌드 시 넣어지므로 롬업 후 두개의 같은 파일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위의 폴더를 만들기 원치 않는 다면 123 번줄의 내용은 삭제 하셔도 됩니다.

단, 위의 프로그램 폴더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Dialo.lnk 파일의 경로가 달라 
Dialo.lnk 파일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Dialo.lnk 파일을 메모장을 엽니다
폴더를 삭제하였는데도 링크파일의 경로는 프로그램폴더내로 지정되어있습니다.
윈도우 내에도 같은 파일이 있으므로 윈도우즈의 경로로 수정합니다.

23#"\windows\Dialo.exe"  (앞의 숫자는 뒤에오는 글자수를 표시한 겁니다. 넉넉하게 글자수에 3정도 더해도 됩니다.)




위의 내용중 한가지 빠진 것이 있습니다.
Dialo.lnk 파일의 경로가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바로가기 파일이 등록되지 않으면 롬업 후에 \Windows\시작 메뉴\프로그램 프로그램이
없는 것 처럼 보입니다. 물로 exe파일은 롬에 존재 합니다. 롬업 후 바로가기를 등록해 사용할 수 도 있지만
initflashfiles.txt 에 한줄의 추가로 바로가기 링크를 넣을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추가해서 넣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 Directory("\windows\시작 메뉴\프로그램"):-File("Dialo.lnk","\windows\Dialo.lnk")


이제 완성되었습니다.

어렵지 않게 설명하려고 했는데 제가 글을 쓰다 보니 제가 어렵네요......죄송

Posted by 생각처럼
, |

1. 롬 덤프하기 oem 파일 삭제하기
2. 패키지 추가하기
3. 레지스트리 등록하기
4. 롬 빌드하기 & 페이징풀 적용하기
5. 롬업하기

가장 기초적인 부분만을 다룬 이유는 더 이상 깊이 들어가면 미천한 내 실력이 모자라서..... ㅋㅋㅋ
혹시 모를 오류로 인한 원성을 사지 않을까하는 기우의 산물정도..........

주의 사항

여기서 내가 사용중인 sch-m480 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다른 유사 스마트폰도 방법만 달리할 뿐 매우 유사하다.
해서 여러가지를 다루기 보단 내가 계속 사용하던 sch-m480 만을 다루는 것이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다른 스마트폰은 알지도 못하거니와 언급하지 못할 것이고 또 질문을 들어와도  답변드리지 못하는 많은 부분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커스텀롬을 제작하며 생기는 오류는 분명 본인이 책임을 져야하는 부분이라는 것을 상기하자!!!!!!!!!!!!

커스텀롬 제작 시 기본 조건

1. 건달님께서 공개해주신 유틸 대부분은 xp에서 동작된다.
2. 액티브 싱크 시 하드웨어의 이상유무를 충분히 확인(케이블, usb 단자,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다른 기기와 병용하지 않는지 확인)
3. 스마트 폰 카페 http://cafe.naver.com/bjphone.cafe 의 링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충분한 등급이 되어야지만 무난한 따라하기가 가능하다.
4.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실시간 보호를 해제한다.(롬덤프와 롬빌드 시에만 해제)
5. 폴더옵션의 보기메뉴에서 알려진 확장자명 보이지 않기 를 해제한다. 
6. 폴더옵션의 보기메뉴에서 숨김파일 및 폴더표시 체크를 한다.
7. 데스크탑에 .Net framework 1.1 이 설치되어 있어야합니다. 

====================================================

이제 각종 레지스트리를 추가해 볼 차례입니다.

어쩌면 1,2탄에 비해 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잘못 적용해 놓으면 문제가 생기고 일일이 수정해야 하기때문에
철자하나하나에 신경쓰셔야 합니다.

무엇을 위해 레지스트리를 롬빌드시에 넣어놓느냐?  워낙 광범위하게 적용 되어지기 때문에 수정을 해서 사용해야 하는
각종 레지스트리를 롬빌드시에 넣으면 롬업 후 레지스트리 변경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
예를 들자면 벨소리 MP3 파일로 변경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미라지 튠으로 한다
2 미라지에서 레지스트리편집기를 이용한다,
3 롬빌드시에 넣어서 한다. 

이런 방법들이 있는데 3번의 방법으로 레지스트리 파일에 아래의 5줄만 추가하면 끝입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Extensions\RingTones\MP3]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Extensions\RingTones\MMF]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Extensions\RingTones\WMA]
[HKEY_CLASSES_ROOT\.mp3]
 @="beatnikfile" 
===============================================================================================

그럼 이런 레지스트리 변경은 어디서 하는가?

SCH_M480_ROMKitchen\dump\OEM\OEM_Lang_0412 폴더내의
f0e06e1d-1154-46f9-9b3e-0af24a30c314.rgu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아래처럼 키맵핑에 대한 레지스트리가 존재합니다.

이 파일에 본인의 레지스트리를 추가하셔도 되고
2탄에서 패키지화 할때 생긴 *.rgu 파일에 추가 하셔도 됩니다.
여기서 경로만 수정해 주시면 키맵핑을 자신이 원하는 어플로 변경도 가능합니다.
수정하시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
REGEDIT4
[HKEY_LOCAL_MACHINE\System\StorageManager\Profiles\PCMCIA]
    "Folder"="저장소 카드"
[HKEY_LOCAL_MACHINE\Comm\Irsir]
   "DisplayName"="직렬(COM) IrDA 드라이버"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Preload]
    @="e0010412"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Preload\1]
    @="e0010412"
[HKEY_CLASSES_ROOT\{030D681B-1DFC-4bd0-A72A-A9B3CCCDA653}]
"DisplayName"="카메라"
[HKEY_LOCAL_MACHINE\System\Pictures\Camera\OEM\PictureLocation]
"Internal"="\\My Documents\\내 그림\\"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1]
    @="\"\\Windows\\AppButtons\\문자메시지.lnk\""
    "Name"="메시지 짧게 누름"    
    "Icon"="\\windows\\ButtonIconRes.dll, 0"
    "ResetCmd"="\"\\Windows\\AppButtons\\문자메시지.lnk\""
    "Flags"=dword:0
    "ResetFlags"=dword: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2]
    @="\"\\Windows\\AppButtons\\메시지 작성.lnk\""
    "Name"="메시지 길게 누름"    
    "Icon"="\\windows\\ButtonIconRes.dll, 0"
    "ResetCmd"="\"\\Windows\\AppButtons\\메시지 작성.lnk\""
    "Flags"=dword:0
    "ResetFlags"=dword: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3]
 @="\"\\Windows\\AppButtons\\마우스 모드 변환.lnk\""
 "Name"="카메라 짧게 누름"
 "Icon"="\\windows\\ButtonIconRes.dll, 2"
 "ResetCmd"="\"\\Windows\\AppButtons\\마우스 모드 변환.lnk\""
 "Flags"=dword: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4]
 @="\"\\Windows\\AppButtons\\카메라.lnk\""
 "Name"="카메라 길게 누름"
 "Icon"="\\windows\\ButtonIconRes.dll, 2"
 "ResetCmd"="\"\\Windows\\AppButtons\\카메라.lnk\""
 "Flags"=dword: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5]
 @="\"\\Windows\\AppButtons\\영상전화.lnk\""
 "Name"="영상전화 짧게 누름"
 "Icon"="\\windows\\VTLauncher.exe, 0"
 "ResetCmd"="\"\\Windows\\AppButtons\\영상전화.lnk\""
 "Flags"=dword: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6]
 @="\"\\Windows\\AppButtons\\이전 영상전화 연결.lnk\""
 "Name"="영상전화 길게 누름"
 "Icon"="\\windows\\VTLongKey.exe, 0"
 "ResetCmd"="\"\\Windows\\AppButtons\\이전 영상전화 연결.lnk\""
 "Flags"=dword:0
--------------------------------------------------------------------


아래는 제가 수정해본 레지스트리의 리스트입니다.
더많은 레지스트리 정보가 있습니다.
본인에게 필요한 레지스트리 정보는 검색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bjphone/183411

1. 시작-설정-장치켜기-설정 " 0-전원, 1-모든, 2-전원 or 종료 "

 [HKEY_LOCAL_MACHINE\System\State\Samsung\Keypad]
"KeyWakeUp"=dword:00000002

 2. 시작-설정-화면-텍스트크기 조정 "가장작게" 128dpi 기준

 [HKEY_LOCAL_MACHINE\ControlPanel\Stylus\128DPI]
"CurFont"=dword:00000320
"FontArray"="800,900,1000,1100,1200"

 3. 시작-설정-개인-단추-위/아래 반복 및 속도 조절 " 짧게 and 빠르게 "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Keybd]
"RepeatRate"=dword:0000001C
"InitialDelay"=dword:0000013A

 4. MP3벨소리지정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Extensions\RingTones\MP3]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Extensions\RingTones\MMF]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Extensions\RingTones\WMA]
[HKEY_CLASSES_ROOT\.mp3]
 @="beatnikfile"

5. 아웃룩 SD카드-"mail"폴더로 저장

[HKEY_LOCAL_MACHINE\System\Inbox\Settings]
"AttachPath"="\\Storage Card\\mail\\Attachments"
"PropertyPath"="\\Storage Card\\mail"

6. 폰트 캐시 변경 & 클리어타입적용

[HKEY_LOCAL_MACHINE\System\GDI\ClearType]
"Quality"=dword:1
[HKEY_LOCAL_MACHINE\System\GDI\GLYPHCACHE]
"limit"=dword:32768

7. 우측소프트키 프로그램(POWERoff.exe)로 지정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Today\Keys\113]
"open"="\\Windows\\시작 메뉴\\프로그램\\PowerOff.lnk"
@="PowerOff"

8. 영상통화길게 버튼 프로그램(DIALO.EXE)로 지정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ell\Keys\40C6]
"Flags"=dword:00000000
"ResetCmd"="\"\\Windows\\Dialo.exe\""
"Icon"="\\windows\\VTLongKey.exe, 0"
"Name"="영상전화 길게 누름"
@="\"\\Windows\\Dialo.exe\""

9. 파일 시스템 및 파일 필터 캐시 변경

[HKEY_LOCAL_MACHINE\System\StorageManager\FATFS]
"CacheSize"=dword:1000
[HKEY_LOCAL_MACHINE\System\StorageManager\Filters\fsreplxfilt]
"ReplStoreCacheSize"=dword:1000

10. XTRA GPS 서버허용-자동접속차단

[HKEY_LOCAL_MACHINE\Software\Samsung\RIL\GPS\XTRA] 
"Enable" = dword:1 
"AutoDownload" = dword:0 
"ROAMINGEnable" = dword:0

11. 전화 키톤 해제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Sounds\Keypress]
"BeepMode"=dword:0

12. 소유자 정보 " 내이름으로 "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Owner]
"Owner"=hex:57,00,6F,00,6F,00,6A,00,69,00,6E,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Name"="Woojin"

13. 장치이름 " 내이름으로 "

[HKEY_LOCAL_MACHINE\Ident]
"Name"="Woojin480"

14. nodata 기본 disable로 설정

[HKEY_LOCAL_MACHINE\Comm\ConnMgr\Providers\{7C4B7A38-5FF7-4bc1-80F6-5DA7870BB1AA}\Connections]

[HKEY_LOCAL_MACHINE\Comm\ConnMgr\Providers\{7C4B7A38-5FF7-4bc1-80F6-5DA7870BB1AA}\Connections\무선 인터넷]
"Enabled"=dword:00000000
"ConnectionGUID"="{9163AF3B-C11A-9757-1F85-C2700C2A5ED7}"
"NDISGPRSAuthType"=dword:00000001
"ReadOnly"=dword:00000000
"SecureLevel"=dword:00000000
"Secure"=dword:00000000
"AlwaysOn"=dword:00000000
"RequirePw"=dword:00000000
"EntryType"=dword:00000002
"DestId"="{ADB0B001-10B5-3F39-27C6-9742E785FCD4}"

15. WIFI 802.11b->802.11g로 변경

[HKEY_LOCAL_MACHINE\Comm\TNET]
[HKEY_LOCAL_MACHINE\Comm\TNET\WLN1]
[HKEY_LOCAL_MACHINE\Comm\TNET\WLN1\PARMS]
"Dot11SupportedRateMaskG"="8"

16. 카메라 저장위치

[HKEY_CURRENT_USER\Software\Samsung\Camera]
"CamcorderPath"="\\Storage Card\\미디어 앨범"
"CameraPath"="\\Storage Card\\미디어 앨범"

17. 기본벨소리 "본인이원하는" mp3로지정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Sounds\RingTone0]
"Sound"="\\Storage Card\\My Documents\\본인이원하는.mp3"
"SavedSound"="\\Windows\\Rings\\삼성 튠.pkg"
"Category"="Ring"
"Script"="apw3r"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Sounds\RingTone2]
"Sound"="\\Storage Card\\My Documents\\본인이원하는.mp3"
"Category"="Ring"
"Script"="apw3r"

18. 시작 조명설정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BackLight]
"Brightness"=dword:00000004
"ACTimeout"=dword:000000F0
"BatteryTimeout"=dword:0000003C
"EndTimeMinute"=dword:00000000
"EndTimeHour"=dword:00000011
"StartTimeMinute"=dword:00000000
"StartTimeHour"=dword:00000008
"DayTimeOff"=dword:00000001
"IsKeyLedEnable"=dword:00000001
"KeyBacklightTimeout"=dword:0000000A
"ACBacklightOnTap"=dword:00000001
"BacklightOnTap"=dword:00000001


19. 인터넷 캐쉬 저장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Shell Folders]
"History"="\\Storage Card\\History"
"Cookies"="\\Storage Card\\Cookies"
"Cache"="\\Storage Card\\Temporary Internet Files"

20. 와이파이 슬립모드에서 꺼지지 않기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ower\State\Suspend\{98C5250D-C29A-4985-AE5F-AFE5367E5006}]
@=dword:0000000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ower\State\Resuming\{EB91C7C9-8BF6-4a2d-9AB8-69724EED97D1}]
@=dword:0000000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ower\State\Unattended\{98C5250D-C29A-4985-AE5F-AFE5367E5006}]
@=dword:00000001

21.투데이구분선없애기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Today]
"HidePluginSeparators"=dword:00000001



* 12 변경은 미라지에서 소유자 변경하시고
미라지의 레지스트리 편집 프로그램으로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Owner]" 부분
Export 하셔서 Notepad 로 실행하셔서 복사해서 넣으시면 됩니다. 

Posted by 생각처럼
, |

출처 카페 > 프로그램 개발 알바(프리랜서.. | 야일스
원문 http://cafe.naver.com/alba1000/59

사용법이 간편합니다.

 

그리고, 필수적으로 svn 서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svn 서버 :

http://subversion.tigris.org/servlets/ProjectDocumentList?folderID=91

중간에  svn-1.4.2-setup.exe (이곳을 클릭해도 됨)클릭해서, 다운받으세요. (용량 커서 안 올라감)

하지만, 2007년 1월 이후에는 버전업이 될지 모르니, 위 사이트에서 다운받는것을 권장합니다.

 

 

svn client : 
http://tortoisesvn.net/downloads  에서 중간에 다운로드 부분에서
32비트용 혹은 64비트용 installer(*.msi) 클릭해서 다운받거나

아래의 링크는 직접 다운로드 (1.4.1.7992)

http://sourceforge.net/project/downloading.php?groupname=tortoisesvn&filename=TortoiseSVN-1.4.1.7992-win32-svn-1.4.2.msi&use_mirror=nchc

 

Posted by 생각처럼
, |

출처 카페 > 스마트폰[갤럭시폰/갤럭시A,.. | 살찌니
원문 http://cafe.naver.com/bjphone/221472

지난 한달 내내 한가지 생각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며 가설을 세워 봤습니다

 

주로 미라지에 대한 생각이지만 블랙잭(i600,i608)이나 오땡이(i718+,i720)에게도 같은 생각입니다

 

미라지의 경우 물론 i780과 다른 디바이스이긴하지만 개발자들에겐 모든 디바이스는 같다라는 대전제로 출발들 하시니

 

소인배가 대인배를 따라하는 것은 흉될게 없을 테니까요

 

i780이 미라지보다 못한 롬이지만 막강 인(人)프라를 바탕으로 눈부신 발전을 하고 있는것을 마냥부러워만 할 수도 없어 방향을 바꿔 보고자 생각을 쭉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죠

 

미라지의 롬은 부트로더역활을 하는 이붓롬과 폰롬 캐리어롬 피디에이롬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i780의 경운 캐리어롬이 없죠 차이는 다 아실테니 pass

줄곧 이붓의 역활에 대해서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추출도 되지 않으며 큰차이를 내는 작은롬이죠

 

우여곡절 끝에 공개된 이붓의 사이즈는 하나같이 동일 합니다

부트로더는 램에 들어가 램을 깨우고 롬을 구획하여 구동을 시켜 이른바 부팅을 진행시킵니다

부트로더에 관계되는 파일은 한놈이 아니라 두놈이더군요 nk.bin과 nk.nb0파일 입니다

 

짐작하셨겠지만 우리가 접한 nk.nb0파일이 통상적인 이붓롬입니다 롬을 구획하고 부팅을 시키는 한마디로 롬사이즈를 이녀석이 정한다는 거죠 단순한 사이즈가 아닌 섹터를 말입니다

nk.bin은 램을깨워 nb0를 돌리는 파일 입니다 nk.bin은 어떤 녀석인지 아직 구경도 못해 보았습니다

 

이쯤대면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지 감이 잡힐려나요

오피셜롬의 경우 램을 50:50으로 디바이스합니다 편의상 주메모리:프로그램메모리

동률로 구획한 프로그램 메모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이유는 20메가정도를  무슨 이유인지 봉인시킨다고 합니다

램디스크는 이봉인시킨 램메모리를 가져다 쓰는 것이죠 8메가정도 찾아 오네요

 

롬개발자들이 쿠킹해 놓은 롬들 사이즈를 보면 60:40에서 65:35사이 정도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저장소 메모리를 많이 두는 이유가 있나요 프로그램 메모리를 많이 주지 않고 저역시 궁금합니다 어느쪽을 크게하는게 좋은지 이 문제는 조금 더 뒤로 미뤄 놓죠

 

이이붓을 디컴파일링하여 다시 컴파일링 할 수 있다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이생각으로 거의 한달여를 보냈습니다

 

오피셜버전업도 이부분을 일정정도 수정하고 롬버전을 업시키는 거겠죠

 

이붓을 디컴파일링하려면 무엇이 필요 할지 찾아봐야겠죠

일단 만드는 과정에 필요한 것들은  다 있어야 겠죠

이른바 SDK, micro visual studio 2005, BSP, platform builder가 기본인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편집기, 헥사변환기 등등 이 필요 하다 합니다

 

현재 왕성하게 롬쿠킹중인 i780wm6.1, 6.5, 앞으로올 7.0을 대비해서 롬쿠킹방향을 i780에 발 맞추면 어떨까 합니다

좋은 쿠킹툴들도 많이 나와주던데요 요거 다 써보면 많은 변화가 생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 여러 아이디어가 빛을 보기도 하더군요 sd에 cab으로 만들어 롬업할 수 있게 쿠킹하기도 하고 통합툴들이 나오고

xip포팅으로만도 머리아파하는 우리 들과는 달리 포팅도 편하게하고 convert까지도 자유자재로 하던데 그많은 xip와 sys들을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던데 말이죠 물론 언어 조건이 다른 장애가 크다는 것 역시 알지만요.

 

아 늦게배운 서방질에 전기세 장난아니게 나오고 있는데 그만 풀렸으면 좋겠네요

 

어차피 많은 제약을 안고 여기 까지 왔는데 더 나가면 안될까요~

 

머리식힐겸 6.5롬들좀 둘러보려 합니다 일단 HL2로 싹 바꾼후 버전업인 BI로 폰롬 피디에이롬만 바꾸어 롬업합니다. i780 official로 업하는 이유는 BI기반으로 롬쿠킹애서 올라오는데 쿠킹속도가 장난 아니더군요 중문롬도 구경해 봐야 겠네요 롬구경 갑니다 참 혹시 따라하실 분 계실지 몰라 HL2처음 올릴땐 심카드빼고 올리세요 폰롬까지 쑥 올라가게요

 

Mascian 10번째 쿠킹롬 입니다 인터넷사용이 안되요 (wifi) . 마우스포인트번짐도 심하구요 이탈리어 sip지만 그리 어려운건 없네요 허니콤보에서 많이 탈피하긴 했지만 바탕배경이 변경이 안되요

 

 

 


 


중어롬 글씨체와 키보드가 예술입니다 이부분은 현재 미라지보다 낫군요 매너진동모드가 끝내주는 군요

처음으로 어떻게 인터넷을 픽스시킨듯한데 제가잘못 조작해서 wifi가 되엇다가 안되는 군요

이개발자는 롬키친도 올려져 있습니다 물론 6.1이지만 어차피 그걸로 롬쿠킹 했을테니 까요

두롬 공히 미라지 키판사용엔 아무 지장이 없네요

 

 

 


요거 입력창 가져다 쓰면 좋겠네요

 

 

주말사이 21202와 21501로 xip포팅해서 또 올렸네요 중국 빠르군요

슬라이딩패널에 날씨 집어 넣은게 큰차이이군요

 

아래는 중문롬에 동생방 미라지테마에올린 wm6.5matt fuzeberry적용해본겁니다 honey combo를 투명하게 바탕으로 밀고 아이콘도 bronze가 적용되어 더욱 세련되어 졌습니다 개인적 취향인 바탕도 살아 나고요

스라이딩패널 디패드 무지 빠르군요 (선택모드죠 마우스선택하면 번짐이 )그 덕에 터치 기능은 더 강화 시켰네요~

 

야호 드뎌 스샷을 올렸습니당~

Posted by 생각처럼
, |

NK.bin VS NK.nb0

Bit / 2012. 2. 3. 17:18
Posted by 생각처럼
, |

출처 뻘짓의 대가 삽질 제임스 (매력남 제임스) | 제임스
원문 http://blog.naver.com/kmsc88/120026376890
오픈지엘 - 오픈지엘 공식 사이트, 생각외로 뉴스가 잘 올라온다.
NeHe Tutorial - OpenGL Tutorial. 내용도 좋지만, 각 플랫폼, 언어별로 구현된 소스가 유용.
OpenGL man page - OpenGL MAN 페이지. 일종의 매뉴얼.
OpenGL Manual - SGI 의 OpenGL 1.2 매뉴얼
GL4Java - 자바를 위한 OpenGL
OpenGL Win32 Tutorial - OpenGL Win32 Toturial
GLUT3 - glut3 소스 및 다운로드.
glut for win32 - Glut for Win32 DLL Download
OpenGL Gamedev - OpenGL Gamedev FAQ & Mailing list
cannon_smash - OpenGL 로 만든 오픈소스 탁구게임
OpenGL FAQ - OpenGL FAQ
OpenGL Reference Manual - 온라인북
OpenGL Programming Guide - 온라인북
OpenGL 수퍼 바이블 - 온라인북
OpenGL 튜토리얼 링크 - OpenGL 튜토리얼 링크
OpenGL 게임개발 FAQ - OpenGL 게임개발 FAQ
GLVelocity - OpenGL 관련 소스 및 뉴스, 토론 등등
DelphiGL - Delphi 로 하는 OpenGL
Yindo -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
Dip2K's OpenGL - 여러 GL 관련 예제가 있는 국내 OpenGL 관련 사이트
GLScene - OpenGL Solution for Delphi
FLTK - OpenGL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LGPL)
Quesa - Apple Quick Draw 3D Open-source Implementation
GLdomain - 파티클, 그라비티 등에 관한 튜토리얼
게임튜토리얼 - 오픈지엘 튜토리얼 및 MP3 라이브러리, 쓰레드 예제 등등이 있다.
Delphi3D - 델파이와 OpenGL를 사용한 최신 그래픽 기술에 관한 정보
RadioGL - OpenGL Realtime Radiosity Viewer (free open-source)
Sulaco - 수준높은 오픈지엘 코드들. 델파이로 짜여 졌음.
HUMUS - 각종 테크닉들의 예제 소스들
DirectX Dev - Developer-only Forum
DirectX8 FAQ - Microsoft DirectX 8 개발자 FAQ
DirectX 개발 - DirectX Developer Center (MSDN)
XBOX - Microsoft XBOX
Mr.Snow's column - DirectX8 튜토리얼
Gamedev DirectX - Gamedev.net's DirectX resources
DrunkenHyena - Direct3D 8.0 Tutorial
Meltdown2001 - DirectX Meltdown2001 presentation
ShaderStudio - Vertex/Pixel Shader 를 쉽게 쓸 수 있는 툴.
Pixel/Vertex Shader - 톰스하드웨어의 픽셀/버텍스 쉐이더에 대한 간단한 정리
GDC2002-DirectX - Game Developer's Conference 2002 - MS DirectX Tutorial
DirectX 뉴스그룹 - DirectX관련 뉴스그룹
TomsDXFaq - Tom Forsyth의 DirectX FAQ
DX FAQ - DirectX MVP 로버트 던로프씨가 관리하는 DirectX FAQ
D3DCAPS - 각 카드별 D3D Caps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
STEEL 프로그래밍 리소스 - 200여개의 그래픽 관련 문서 및 튜토리얼 모음
그래픽스문서찾기 - 다운로드는 안되고 문서명만 검색되네.
파일포맷 - 모든 파일 포맷에 대해서.
게임프로그래밍뉴스그룹 - comp.games.development.progrmming.algorithms
3D Engines - 3D 엔진 목록 및 검색
GPGStudy.com - Game Programming Gems 스터디 사이트
KGDA - 한국 게임 개발자 협의회
FlipCode - 게임개발관련 뉴스와 자료들
Spirit3D - 3D 그래픽관련 문서 및 번역물이 많음
게임코드 -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자유로운 얘기와 도움을 주고받는 곳
GameDev.Net - game developer network
가마수트라 - game developer webzine.
GDAlgorithm - Game Development Algorithm 메일링 리스트
nVidia Developer - nVidia 사의 개발자 네트워크
ATI Developer - ATI 사의 개발자 네트워크
Matrox Developer - 매트록스 사의 개발자 네트워크
쿼터니온 - 가마수트라의 쿼터니온 설명
문서들 - 가마수트라의 프로그래밍 관련 문서
gdconf - 게임 디벨로퍼 컨퍼런스
인텔 - 개발자 네트워크 게임부문
게임도큐먼트 - 심형근님의 게임개발 관련 각종 문서들
게임튜토리얼 - 게임관련 튜토리얼, 문서, 토론 등등
Genesis3D - 소스가 공개된 게임엔진. 유명.
Jet3D - Genesis3D를 기반으로 하는 차기 버전(소스공개)
타이탄프로젝트 - 퀘이크3의 맵을 읽는 엔진(소스공개)
AfterShock - GPL 퀘이크 렌더러
PolyCount - 퀘이크3/2, 언리얼, 하프라이프 등의 모델데이타.
소스포지의 3D 파운드리 - 소스포지의 공개된 여러 3D 관련 프로젝트 및 컨텐츠
3D Engine List - 3D Engine List - 우와 많다.
DDG Toolkit - Digital Dawn Graphics Toolkit (C++ OpenGL Terrain Toolkit)
OpenFX - 오픈소스 공개 모델러, 렌더러, 애니메이터(게임엔진아님)
FLY3D - FLY3D 게임 엔진. 책도 있음.
Crystal Space - 크리스탈 스페이스-멀티플랫폼 3D 게임 엔진
매직소프트웨어 - 3D Game Engine Design 이라는 책 소스 및 유용한 공개코드
Nevrax - GPL 게임 엔진(AI, 3D, 네트웍 포함. 베이어패치 및 아웃도어용)
OGRE - 객체지향 그래픽 렌더링 엔진(베지어패치 및 퀘이크 렌더러 등)
RadonLabs - Nebula Device 라는 공개엔진. Nomads 라는 게임에 사용.
NeoEngine - 네오엔진. 멀티 플랫폼 LGPL 게임엔진
LOD - 지형 LOD 구현 리스트
CUBE - 깔끔하고 심플한 FPS 게임 엔진. 소스 공개. 서버도 있네?
F4 - Flat Four Engine. 게임 개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lua, SDL, ODE, FreeType 등을 사용
ICE - Internet Communication Engine. GPL기반의 네트웍 엔진.
크리스 헤커 - 크리스 헤커의 게임물리학 및 텍스쳐매핑관련 PDF 문서가 있다.
피터 린드스트롬 - 꽤 읽어봄직한 논문들
UNC GEOM - UNC 의 물리시뮬레이션, 기하학관련 리서치 그룹
casManG's 3D 게임 아트 - 3D 게임관련 모델링 튜토리얼 자료 많다.
ingava - Q3A Prgramming/Modeling Tutorial
Motion -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관한 자료 및 문서
MathEngine - 실시간 물리엔진, 데모
Art Of Assembly - Art Of Assembly : 어셈블리 책 - 웹에 책 내용 다 있음.
게임인공지능 - 게임관련 인공지능
블랙북 - 마이클 애브래쉬의 블랙북 PDF
게임 모델링 툴 링크 - 모델링 툴, 스키닝 툴, 튜토리얼 및 리소스 링크
Creative - 크리에이티브사의 게임 개발 관련 자료
Amit's Link - Amit's Game Programming Information
리스텍 - 리스텍(lithtech) 게임엔진
NetImmerse - NDL사의 NetImmerse 엔진
Audiere - 오디에르. ogg, wav, mod, s3m 등을 지원하는 오디오 라이브러리(LGPL)
GDZine - 게임 개발자를 위한 웹진
Torque엔진 - Tribes 2 에 쓰였다는 Torque 게임 엔진. 개발자 당 $100 이란다.
Gyedo's pot - Maya 스크립트 강의도 하시는 CGP 전계도씨의 홈
그래픽 파일 포맷 - 그래픽 관련 파일 포맷 링크
파워플랜트 - 무척 많은 폴리곤으로 구성된 공장, 시설물 모델 데이터 제공. 공개
HighEnd3D - 하이엔드 쓰리디. 마야, XSI, Shake 커뮤니티
씨쥐링크 - 컴퓨터 그래픽 관련
3D Links - 3D 관련 링크 및 뉴스
디지탈 프로듀서 - 디지털 영상 편집 및 3D 관련 웹진. 공짜 3D 모델도 있음.
아발론.뷰포인트 - 뷰포인트사의 공개 모델링 데이타들이 있는 곳.아발론
모델뱅크 - 뷰포인트사의 모델뱅크-상용
Steven Stahlberg 갤러리 - 여자 3D 캐릭터 죽~인다
3D Artisan - 국내 3D 관련 잡지
드림모션 - 국내 모션캡쳐 장비 회사
OpenEYE - 3DS MAX 사용자 그룹
3D 캐릭터 - 나잘난박사의 이상호님 홈
더-포즈 - Poser 애니메이션을 판다.
포져 - 3D 인체 포즈 및 애니메이션 툴. 훌륭...짝짝짝.
3D필름메이커 - 3D 영상 및 컨텐츠 개발 관련
밀크쉐이프3D - 쉐어웨어 로우 메쉬 에디터, 애니메이터(하프-라이프모델 지원빵빵)
안드로이드월드 - 안드로이드 관련 정보
소다플레이 - 마치 애완동물을 괴롭히는 것 같은...
메타모션 - 실시간 모션캡쳐 시스템
제니류님의 홈 - 마야 3D 케릭터 모델링과 애니메이션
CGLand - 다수의 CG 갤러리 및 링크
Digital Art Zone - Poser Map & Model 파는 곳
Motion Analysis - Motion Analysis : Motion Capture System/Software
Zygote - 상용 3D 모델 데이타
Famous3D - Facial motion-capture 솔루션
3D Artists - 세계적인 3D Artists 들의 작품 감상 및 포럼
소아나라 - 3D 아티스트. 실사와 거의 흡사한 이미지. 국산.
Kludge3D - 3D Modeling Tool (LGPL)
니트정보통신 - FilmBox, Toonz, Vicon 등의 디스트리뷰터
GMAX - 게임 MOD 개발용 gmax (공짜)
HCIKorea -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연구회
JoyCG - 여러 아티스트들의 3D 작품을 구경하고 싶을 때
KBS 기술연구소 - 방송에 관계된 여러 기술 정보
모캡코리아 - 모션캡쳐관련 서비스
Terragen - 공개용 지형 생성 툴
두모션 - 국산 기계식 모션캡쳐 시스템
Quest3D - 실시간 3D 멀티미디어 툴
문라이트3D - 오픈소스 3D 소프트웨어 (모델러, 넙스, 레이트레이서, 라디오시티 포함). 리눅스만 지원
소프트 쉐도우 - Michael Herf & Paul Heckbert 의 소프트쉐도우에 관한 페이지
쉐도우 - 쉐도우에 관한 여러가지 자료
Jeff Lander - Jeff Lander의 게임개발관련 문서
리얼타임렌더링 - 리얼타임렌더링책선전 및 각종 링크
Math3D - The 3D Computer Graphics Math Library Homepage
New York Univ. - New York Univ. Media Research Lab
Red3D - Non-photorealistic Rendering Links
쿼터니온 - 쿼터니온링크
SIGGRAPH PROCEEDINGS - ACM Digital Library(SIGGRAPH Proceedings Listing)
WhyQuat - Do you really need quaternion?
Nurbs++ - C++ Nurbs Library
매직소프트웨어링크 - 매직소프트웨어의 그래픽관련 링크
gdconf 2000 - Game Devel. Conf. 2000 procedings
gdconf 2001 - Game Devel. Conf. 2001 procedings
CFXWEB - 데모와 게임 개발에 관한 문서, 소스 및 갤러리
I_COLLIDE - 인터액티브하며 정확한 충돌 감지 라이브러리
ACM JGT - Journal of Graphics Tools
RTRT - RealTime RayTracer
피에르의 링크 - 3D, 수학, 물리관련 각종 링크
GeometricModeling - On-Line Geometric Modeling Notes. 맘에드는 주제들.
Heriot-Watt - Heriot-Watt University Graphics Notes. 설명양호.
미시간주립대 - 미시간주립대 그래픽스 노트. 프레젠테이션
Don Lancaster's Guru's Lair - Cubic Spline Library (PDF 서비스)
Paul Bourke - Curve 및 그래픽스 관련 노트 및 C 소스코드
Journal of Graphics Tools - 실제 현장에 바로 응용할 수 있는 그래픽스 연구
RayTracing - RayTracing Tutorial
TomasMöller - Real Time Rendering 의 저자
CassEveritt - nVidia 사 개발자, Per-Pixel Lighting 관련 연구
DavidBarraff - 현 Pixar (전 CMU). 강체시뮬레이션관련
Jos Stam - Alias|Wavefrot 사 근무. FFT 에 기반한 간단한 Fluid Solver
efg's 링크 - 시뮬레이션과 모델링에 관한 링크모음
그래픽스젬스 - 차례 및 소스 다운로드
BOID - BOID(새들의 무리?) 관련 정보(인공지능)
NatureWizard - 그래픽으로 자연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들
오픈넙스 - 공개용 넙스(NURBS) 파일 포맷
Jan Kautz - BRDF, Shadow Bumpmap, Realtime Bumpmap 등등
ColDet - 공개 충돌 검사 라이브러리
University of Leeds - 여러가지 그래픽스 관련 기본적인 튜토리얼.
스탠포드대학 - 컴퓨터 그래픽스를 위한 수학적 방법(웨이블릿, 몬테카를로...)
Water - Rendering and Animation of Liquid
인텔3D 문서 - 인텔의 3D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문서들
GTS - GNU Triangulated Surface Library
LargeModels - 공짜로 다운받는 무지 큰 3D 모델 파일들.
RBF - Radial Basis Function 에 관한 FAQ
Art-based Modeling... - 아트 기반의 모델링 및 렌더링. 브라운 대학의 리서치 프로젝트
HyperGraph - ACM의 그래픽 튜토리얼얼얼얼....
노말 맵 튜토리얼 - Object Space Normal Mapping with Skeletal Animation Tutorial
HDR - Debevec의 HDR관련...
HDRShop - HDR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는 툴(비상업적 사용가능)
OpenExr - ILM사에서 공개한 HDR 파일포맷
ICC - 국제 컬러 컨소시움(ICC). .icc 포맷에 관한 문서들...
소프트쉐도우 - 토마스 밀러의 실시간 부드러운 그림자 프로젝트
PocketMovies - PocketMovies
Projectmessiah - Projectmessiah
Anzovin Studio - Anzovin Studio
AtomFilims - AtomFilims
4CSCG - 컴퓨터 그래픽 아트 관련
PepeLand - Daniel Martinez Lara
SIGGRAPH 2003 PAPERS - SIGGRAPH 2003 논문 링크
M. Gleicher 의 홈페이지 - 캐릭터 애니메이션 수업 및 모션 에디팅 논문 자료
캐릭터 애니메이션 강의자료 - 위스콘신
Thalmann - Thalmann's Home
CG KAIST - KAIST COMPUTER GRAPHICS LAB
Motion Editing Lecture - KAIST Motion Editing & Manipulation Class
서울대 그래픽스 랩 - 서울대 대학원 그래픽스 & 미디어 랩
Postech VR lab - 포항공대 VR 랩
H-Anim - Humanoid Animation Working Group
Virtual Humans - ben's Virtual Humans Page
Bio Virtual - 3차원 얼굴 뷰어
모션캡쳐 - 모션캡쳐 리서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메카트로닉스 연구실(로봇관련정보)
Robotics - Mathematical Methods for Robotics and Vision
Linear Algebra - Computation Methods in Linear Algebra
MotionEditing Web - M.Gleicher 의 모션에디팅 메일링리스트
애니큐브 - 자신의 아바타를 만든다.
Heloli.com - 멋진 일본 캐릭터 애니. 카툰렌더링. 치마펄럭. 머리약간 펄럭.
경사면 걷기 - 경사면에서 걷기동작 생성에 관한 논문
스프링인간 - 플래쉬로 만든 고무줄 꼭두각시
DX8스키닝 - DX8 버텍스 쉐이더에 대한 간단설명 및 스키닝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
게임데브넷 - Character Animation with DirectX 8.0
캐릭터애니관련책 - Programming Dynamic Character Animation
CoderCorner - Pierre Terdiman의 Realtime Cloth, Flexporter, Z-Collide 등등 구경
Advanced Character Physics - Thomas Jakobsen의 GDC 2001 강연자료
ESC - 가상 나이트클럽.
메타휴먼 - 메타휴먼? 재미있는 프로젝트들을 연구하는 그룹.
Cal3D - 공개 캐릭터 엔진
Watt - 3D게임, 실시간렌더링 및 캐릭터 애니 강연자료
Expression - 공개 페이셜 애니메이션 툴킷(TTS, 맥스익스포터, 스크립팅)
HFAP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휴먼 피규어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연구관련
Kaneko - Kaneko의 궁극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데모들
LinuxGames - 리눅스게임에 관한 뉴스
리눅스 게임 톰 - 리눅스 게임에 관한 많은 뉴우스들.
OpenAL - Loki 사의 오디오 라이브러리
SDL - 쓸만한 멀티플랫폼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
Broodcast2000 - 리눅스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비선형 오디오 비디오 편집기 (소스공개)
Inovation3D - 오픈소스 3D 모델링 툴, 키프레임 애니메이션과 본도 지원(간단하게...)
Linux Game Dev. in GDC2001 - Linux Game Dev. in GDC2001
리눅스3D - 리눅스 3D 게임 뉴스
리눅스 3D (org) - 리눅스 3D 뉴스
LinuxVideo - Linux Video and DVD Project
인드리마 개발자 네트워크 - 리눅스 게임 콘솔 인드리마 개발자 네트워크
Kano - 실시간그래픽스에 관심있는 일본개발자. GPG 일본판 번역자
Ádám Moravánszky - ShaderX 에 Bump Mapped BRDF Rendering 파트집필
Thomas Jakobsen - Game Engine, Physics, Character Animation, Denmark
Cass Everitte - nVidia 사에서 일하는 카스 에버릿. 몇몇 오픈지엘 예제
Hoppe - 메쉬 최적화 및 기타 유용한 자료들. MS 사 댕김.
Jonathan Blow - GDMag의 이너프로덕트를 기고하는 조나단 블로우의 글모음
Kwanny - 서관희님의 개인 홈페이지
Redpixel - 권태인님의 개인 홈페이지
Kimsama - 김현우님의 개인 홈페이지
Toki - 토끼님의 개인 홈페이지
류광 - 류광님의 개인 홈페이지
3dstudy - 김용준님의 개인 홈페이지
g-Matrix - 김성완님의 개인 홈페이지
울트라 감자 - 김성수님의 개인 홈페이지
게임통합환경 - 신용우님의 개인 홈페이지
테제 - 김태진님의 개인 홈페이지
아샬님 - 아샬님의 개인 홈페이지
김완종 - 김완종님의 개인 홈페이지
Pangde - Pangde님의 개인 홈페이지
브렌더 - 최고의 오픈소스 3D 모델러/애니메이터
demonews - 3D 게임 데모 정보
DPlayer - 3D 댄스 플레이어. 캐릭터 깔끔 예쁘다.
뷰포인트 - 뷰포인트사의 웹3D (메타스트림)
iWorld3D - 국내 Web3D 개발업체
와일드 탄젠트 - Web3D, Web Streaming, ....
sumea - 환상적인 자바 3D 영상
WEB3D 콘소시움 - 웹3D 콘소시움
Blaxxun3D - X3D 포맷을 지원하는 자바로 만든 3D 클라이언트
펄스3D - 꽤 괜찮은 캐릭터 애니메이션
슈퍼스케이프 - 워크맨 등의 가전제품에 써먹을만한...질은 별루...
샤우트3D - 자바 기반으로 만들어짐. 툴킷도 제공
사이코어 - Cult3D, CultEffect, PuppetTime 등의 프로덕트
드림스케이프 - 국내 웹3D 관련
GIBLE3D - 국내 웹 3D 뷰어 개발 업체
QEDSoft - 3D 웹 에이전트
오락닷컴 - 실시간 스트리밍 3D 춤 강좌 서비스
KLDP - 리눅스사용자라면 꼭 가봐야 할 사이트
리눅스시스템관리 -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홈페이지
Debian-KR 메일링 리스트 - 데비안-KR 메일링 리스트 아카이브
Trinux - 디스켓 3장에 들어가는 리눅스
linux-firewall - linux-firewall
certcc.or.kr - 한국정보보호센터
쉘프로그래밍 - 쉘프로그래밍매뉴얼
SAINT - 보안분석툴
securityfocus.com - 보안관련정보
정규표현식설명 - 정규표현식에 대한 설명
Thinkpad Tool - Thinkpad Notebook Linux Configuration Tool
네트워크프로그래밍 - BeeJ's Guide to Network Programming
webalizer - 웹 로그 분석툴
MRTG - 서버 네트워크 통계 프로그램
VirtualPC -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깔 수 있다는
IBM Linux - 한국 IBM의 리눅스 기술문서 번역 및 자료
헤커되기 - 헤커가 되는 법(에릭.S.레이몬드)
데비안사용자 - 국내 데비안 사용자 그룹
리눅스 가제트 - 리눅스관련 웹진
프렉 - 헤킹관련 웹진
CygWin - GNU + Cygnus + Windows
GNU GPL FAQ - GPL 에 관련된 빈번한 질문과 답
phpBB - PHP, MySQL 로 만드는 커뮤니티. 디자인이 깔끔.
KTUG - Korea TeX Users Group
KLDP 닷넷 - 소스포지와 같은 국내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서비스 제공
Emacs-KR 홈페이지 - 최고의 에디터인 Emacs 의 사용자 모임
Emacs 설치 - 이맥스 윈도우즈용/유닉스용 설치에 관한...
정재목씨의 Emacs - 정재목씨의 Emacs 관련 페이지
NT Emacs - Windows 95/98/NT 용 Emacs 설명
Elisp Manual - Emacs Lisp Programming
Elisp intro page - Elisp Introduction & link
Elisp Reference - Elisp Reference Manual
VisEmacs - Visual Studio 내장 에디터로 Emacs 를 사용하게 해 줌
Doxygen - C++ 개발 문서화 도구
HeaderDoc - C/C++ 헤더파일을 HTML 로 문서화(펄)
CVS Home - 버젼 컨트롤 시스템
RCS - GNU Revision Control System
CS-RCS - 윈도우용 RCS. 1인용은 공짜
ViewCVS - CVS 레파지터리를 웹상에서 보기
ActiveState - ActivePerl, ActiveTCL 등등
Cetus링크 - 프로그래밍관련 방대한 링크
ZipArchive - C++ Zip 압축 라이브러리(소스동봉, zlib 사용)
zlib - zip 라이브러리
Data Compression Lib - 데이터 압축 관련 정보(인덱스, 링크, 소스)
GNU Win32 - Win32 용 각종 GNU 라이브러리 소스(libjpeg, crypt, freetype, zlib 등등)
루아 - 엘레강트하고, 심플하며, 빠르고, 가벼우며, 확장성이 용이한 스크립트 언어
공개 컴파일러들 - 각종 언어에 대한 공개 컴파일러 목록
CGShaders - C for Graphics. 사용자그룹을 가장한 공식홈
UPX - 실행 프로그램 압축 유틸리티. 여러분의 프로그램이 작아집니다.
oggvorbis - 오그 보비스 플러그인, SDK 및 소스 다운로드
IGLOO - Visual Studio 용 CVS 플러그인
OONumeric - Object Oriented Numerics Page, 수치 계산용 각종 라이브러리 링크
Script Tutorial - 게임용 스크립트 컴파일러, 가상머신 제작 튜토리얼
SSWF - 플래쉬 SWF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 자체 스크립트도 제공
ACM - The ABCs of Writing C++ Classes
Guru of the Week - Guru of the Week
STL - Standard C++ Library Tutorial 한글
STL - Standard C++ Library (SGI)
STL - Visual C++ 의 STL Sample
C++ FAQ - C++ FAQ
MSJ - Microsoft Systems Journal
VC++ STL Reference - VC++ STL Reference
Thinking in C++ - Thinking in C++ 온라인 북
코드 구루 - 코드 샘플이 많은 개발관련 사이트
OpenIL - Open Image Library
Win32ASM - Iczelion's Win32 Assembly Homepage
Priority Que & STL - by Mark Nelson (Dr. Dobb's Journal)
STLPort - 범용, 공개, 오픈소스 STL
데이타 압축 - 데이타 압축 관련 링크 모음
C++ Optimize - C++ 최적화 방법에 대한 내용
STL newbie - STL 초보자를 위한 문서
코드프로젝트 -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래밍 강좌
MTL - Matrix Template Library
CPlusPlus - C++ Tutorial
AssemRef - Assembler Programmer's Reference
공짜 C/C++ 컴파일러들 - 공개 C/C++ 컴파일러들에 대한 상세한 목록
어셈러브 - 국내 어셈블리 관련 홈페이지
C++ Online Books - C++ 관련 공짜 온라인 북 링크
STL Document - RogueWave Software 의 STL 튜토리얼 및 레퍼런스
Blitz++ - 객체지향 공학용 수치계산 라이브러리(C++)
행렬 라이브러리 비교 - C/C++ 용 행렬 라이브러리 비교평가
AoA - Art of Assembly. 최고의 어셈블리 공개문서
Win32ASM_comm - Win32 어셈블러 커뮤니티 포럼
펜티엄 명령 - Pentium Instruction Formats and Encoding
MMX소개 - 엔젤 코드의 MMX 소개
전웅님홈 - K&R2 레퍼런스 매뉴얼 번역이 있음.
CodeProject - 공개 소스 코드 및 튜토리얼
MathWorld - 수학 백과 사전. 방대한 자료 상세한 설명.
MathBook - Online Books and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PlanetMath - Wikipedia+MathWorld+Slashdot
Math Fun Facts - 수학의 재미있는 사실들
AKROWNE's Home - 수학관련 유용한 정보(책 미러 많다)
Math of DFD - Mathematics of DFD(Discrete Fourier Transform)
그리스문자 읽는법 - 그리스 문자를 읽는 방법
Numerican Recipes in X - Numerican Recipes in C/Fortran 온라인 북
Mech-World - 기계공학관련(동역학,수치해석) 강의노트 및 관련정보
Forgodot - 미적분학 원격 강의
NetLib - 수학관련 문서 및 소프트웨어 모음집
물리의 이해 - 경상대학교의 물리학 노트. 플래쉬 및 자바애플릿.
수학사랑 - 수학교사들의 연구단체
대한 수학회 - 대한민국 수학 학회.
GIF math - 각종 수학 식에 대한 GIF 이미지 모음
SVD -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을 사용한 이미지 압축
Physically Based Modeling - (Online Siggraph Course notes)
Rigid-Body Link - Rigid-Body Link
RigidTutorial - Rigid Body Simulation Tutorial
ODE - Open Dynamics Engine, 공개 다관절 강체 동역학 엔진
Gene's RealtyRoad - ODE 로 만든 사람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기
Dynamo - Dynamic Motion library
3DPhysics - 3D Physics 관련 설명
옥스포드다이나믹스 - 자동차 시뮬레이션 라이브러리. (상용)
BuggyDemo - ODE 를 사용한 3D 자동차 시뮬레이션 데모. 소스 제공
TJ의 리소스 - Thomas Jakobsen의 인터액티브 물리 시뮬레이션 관련 리소스들
하복 - 하복(havok) 물리 엔진(상용)
Math 엔진 - 물리 엔진 까르마(Karma) (상용)
GamePhysics Book - David H. Eberly 의 게임 피직스 북.
SOLID - 상용 3D 충돌 라이브러리. 개인사용은 공짜.
OpCode - 삐에르 테디맨의 공개 충돌 라이브러리. RAPID나 SOLID와 비슷한.
Novodex - 스위스에 있는 게임 물리 미들 웨어 제작사
Game Physics 리소스 가이드 - 가마수트라에 실린 게임 물리 리소스 가이드편
TokamakPhysics - 게임을 위한 물리 엔진. 쓸만한 것 같음. 버전1 SDK는 공짜
아이비즈넷 - 인터넷 비즈니스 관련 자료
DevGuru - 자바스크립트 레퍼런스
PHP Code Exchange - PHP Code Exchange
PhpWizard - PhpMyAdmin의 PHPWizard
웹레퍼런스 - 여러가지 웹 개발 및 다양한 전문 정보
Weberdev - PHP, MySQL, JavsScript 등 예제
자바스크립트 레퍼런스 - 자바스크립트 레퍼런스(넷스케이프)
VeriSign 서버인증 - 서버인증 신청하려면 (한국)
VeriSign 서버인증 - VeriSign 서버 인증(외국)
JSBoard - 적수네 게시판 배포본
jPilot - 자바기반 IRC 클라이언트-상용
ICQ TOOL - ICQ WEB TOOL
HTML 태그 정리 - HTML 태그 정리
이지보드 - 펄 및 씨뿔뿔로 만든 게시판
nzeo - 제로 보드 커뮤니티
TT보드 - 티티보드 및 티티체(공개웹폰트)
미니위니 - 미니위니 쩜 컴. 홈페이지에 관한 홈페이지
아시아소프트공개폰트 - 아시아소프트에서 공개하는 윈도우용 한글글꼴들
알티즌웹폰트 - 알티즌에서 공개하는 웹폰트 100여종
WebGFX - 웹상에서 글자 효과 이미지를 만들어 준다니
Jargon File - 해커들의 각종 전문 용어 사전.
야후 영영 -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한메 마이퀵파인드 - 무료 인터넷 영어사전. 간단히 클릭만으로도 쉽게 번역됨.
캠브리지 영영 - 캠브리지 영영 사전
텀즈 - 컴퓨터 용어 사전(한글)
Whatis - 컴퓨터 용어 사전(영어)
딕쇼너리 - 딕쇼너리 쩜 컴
정보통신용어사전 - 엠파스 정보통신 용어사전
야후 각종 사전 - 야후 한영, 영한, 국어, 백과, 경제 사전
encarta - MSN 의 영영사전. 단어 발음 제일 많음.
엠파스사전 - 엠파스 백과사전, 영한/한영, 정보통신, 국어사전
GoEnglish - 영어 관용어 설명
수학용어사전1 - 중학교 수학 용어 사전
수학사랑용어사전 - 교과서 수준의 수학 용어 정리
MathNet - 한국과학기술원 수리과학정보센터 수학 용어 디비 검색(영문<->한글)
IT사전 - 디지털 타임즈의 IT 용어 사전
MathWorld - 울프람 수학 백과 사전. 방대한 자료 상세한 설명.
ScienceWorld - 울프람 물리학 백과 사전.
게임사전 - 쥐그라운드의 게임관련 용어사전
nVidia 3D 글로서리 - nVidia 사에서 제공하는 3D 관련 용어사전
알고리즘사전 - NIST. 각종 알고리즘과 데이터 구조 검색
FOLDOC - 컴퓨터에 관련된 공개 온라인 사전
물리학용어집 - 한국 물리학회 산하의 영한/한영 물리학 용어 변환 데이터베이스
LG 각종 사전 - LG 상남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용어 사전 서비스 및 링크
인터넷 약어 - 네티즌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약어 간단 정리
딕쇼너리 - 쓸만한 영어 사전 있음. 숙어가 잘 찾아짐
격언 우화 사전 - 격언, 속담, 우화 등에 사용된 단어들의 의미
스노우캣 - 재밌는 캐릭터, 홈페이지깔끔
내동생 홈페이지 - 내 동생 치호의 홈페이지
다나와 - 컴퓨터 가격 정보
지하철노선 - 완벽한 지하철 노선표
한글 LaTex 관련 - 한글 LaTex 관련 사이트
CNET 코리아 - CNET 코리아. 리눅스 소프트웨어도 많이 다운받을 수 있다.
개인 MP3 스트리밍 방송국 - 개인들이 MP3 스티리밍 방송을 서비스하는 곳
RJ-45잭 - RJ-45잭 설치법 상세히
지도 - 자세한 디지탈 지도
winamp 로 인터넷 방송하기 - winamp 로 인터넷 방송하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
아바타채팅 - 쿼터뷰형식의 아바타 채팅사이트
아스키 스타워즈 - 아스키로 보는 스타워즈
KWeather - 날씨정보
노트패드로 VRML 만들기 - 선호형개인홈피. 노트패드를 사용한 VRML 만들기
바노와 영화 - 영화에 대하여
Common Lisp HyperSpec - Common Lisp HyperSpec
ACM - ACM Digital Library Search
세사모 - 세벌식 사용자 모임
Dvorak - 드보락 자판에 대한 소개
사랑해의 다국어버젼 - 사랑합니다를 여러 언어로 표현한 것
간단한 맞춤법 - 통신상에서 잘 틀리는 간단한 맞춤법
SNIFFING FAQ - 스니핑에 관한 FAQ
로보콘 - 국내 로봇관련 잡지
마인드스톰 - 레고 마인드 스톰의 다음카페
IEEE - IEEE Xplore
생활전화번호 - 유용한 전화번호 찾기
에뮬랜드 - 에뮬레이터게임 다운로드
MAME - MAME 에뮬레이터 게임
MAME.DK - MAME 게임 다운로드
우리말서당 - 한글 맞춤법에 관한
All Posters - 각종 영화 및 기타 포스터들
벅스뮤직 - 음악을 골라 들을 수 있다.
퀵서비스 - 오토바이 택배 서비스
뉴스그룹 - 고글의 뉴스그룹 검색엔진
IPL - Internet Public Library 공짜 인터넷 책
단위 - 각종 단위(테라, 페타, 엑사, 제타, 요타...)
언어파괴 - 온라인 언어파괴 이제는 그만
뉴스페이퍼 - 만화, 유머 기타등등
정보과학회논문 - 논문 검색 및 무료 다운로드(5개월 이전만)
KTUG - Korean Tex Users Group
아스키테이블 - 아스키 테이블 조금 디테일하게...
교보문고 - 교보문고
컴퓨터연구정보센터 - 국내 및 국외 논문지 검색 및 다운로드
퍼즐 - 생각하는 퍼즐. 아하 그렇구나. 허 참.
용달24시 - 용달로 짐 옮길 때. 기사아저씨가 직접 운영한답니다.
Tech News - c|net 테크 늬우스
스무쓰째즈 - 부드러운 째즈를 들을 수 있는 곳
티메카 - 온라인 전문 서점. 원서 매우 싸다.
경조사어 - 각종 경조사어를 한자로
DBDIC - 묻고 답하는 지식 커뮤니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Orisinal - 아기자기한 플래쉬 게임들 모음
온라인북 - 1800권 이상의 온라인 북. 우와~
콩나물닷컴 - 국내 최고의 지도 검색 사이트
용묵님 홈페이지 - 한글 입력기 <날개셋> 개발자이신 용묵님 홈페이지. 세벌식관련 및 여러 읽을 거리들
코리아헤럴드 - 코리아 헤럴드 공식 사이트
CTUG - 한글 Tex 사용자 그룹

Posted by 생각처럼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