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생각처럼

카테고리

전체보기 (209)
TOOL (1)
다이어리 (1)
Bit (200)
HELP? (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민트 리눅스에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구성을 위해  android developer 사이트에서 (http://developer.android.com/index.html)  android sdk 를 다운받은경우 이클립스 까지 포함한 압축 파일을 다운받게 된다

하여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풀어 실행하는경우 특별한 문제점을 찾을수 없으나

소스코드를 가져와서 빌드하려는 경우 문제가 발생했다

이유없는 강제 종료 현상이였다 소스코드에 마우스만 가져가면 종료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강제 종료되는 경우 이클립스 폴더를 확인하면 해당오류에 관한 log파일을 참조할수 있다.

내 경우에는 hs_err_pid2022.log라는 파일이름으로 log 파일이 생성되었다

내용은 대략

#

# A fatal error has been detected by the Java Runtime Environment:

#

#  SIGSEGV (0xb) at pc=0x00007f5af3a6cc91, pid=2022, tid=140030177851136

#

# JRE version: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7.0_51-b13) (build 1.7.0_51-b13)

# Java VM: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24.51-b03 mixed mode linux-amd64 compressed oops)


위와 같은내용이다...

런타임 에러...

인터넷 검색 결과 기본으로 구성된 open jdk 문제일수 있다는 생각에 sun jdk 를 설치하여보았지만 결과는 똑같았다

이클립스를 다시 설치하고 지우고를 엄청나게 반복했지만 문제는 찾을수 없었다

결국 다시 검색을 해보아 문제점을 알수 있었다..

이클립스 폴더에 같이 포함된 ini설정파일에 오류였다

-startup

plugins/org.eclipse.equinox.launcher_1.3.0.v20120522-1813.jar

--launcher.library

plugins/org.eclipse.equinox.launcher.gtk.linux.x86_64_1.1.200.v20120913-144807

-product

com.android.ide.eclipse.adt.package.product

-showsplash

com.android.ide.eclipse.adt.package.product

--launcher.XXMaxPermSize

256m

--launcher.defaultAction

openFile

-vmargs

-Dosgi.requiredJavaVersion=1.7.0_51   <------------------이부분이 설치된 jdk버전과 다르게 기입이 되어 있었다

-XX:MaxPermSize=256m

-Xms40m

-Xmx768m

-Declipse.buildId=v22.3.0-887826

-XX:MaxPermSize=512M

추가로 프로젝트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compiler compilance level 을 ini파일 설정과 동일한 버전으로 설정해 준다.

하여 위부분을 수정하여 실행하니 허무할정도로 실행이 잘되고 있다..

아무래도 윈도우 기반 비주얼스튜디오 만하던 경험만 있어서 리눅스나 이클립스에 적응이 잘안되는거 같다 ^^

혹시나 나와같은 실수를 반복할수 있기 때문에 메모를 남깁니다.


Posted by 생각처럼
, |

chomod 로 파일 실행 권한을 설정한 후 설치해야한다.

sudo chmod +x FileName.bin  실행권한을 부여한다

sudo ./FileName.bin 파일설치 실행한다.

Posted by 생각처럼
, |

Lubuntu 를 사용시 다른 파티션 디스크에 접근시 항상 관리자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뜨기에 뭔가 좋은 방법이 없을까 하다가

찾은 방법

메뉴 기본설정-> 디스크 항목을 선택합니다


디스크 파티션할당된 화면이 보여집니다

제 경우는 파일시스템 3번 파티션을 항상 부팅시 자동마운팅이 되도록 설정하려 합니다.

이유는 음악파일을 저장해놓은 파티션이 3번 파티션인데  재부팅을 하면 음악목록을 다시 불러와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설정하려는 파티션을 마우스로 선택후 톱니바퀴 모양의 옵션버튼을 선택하면


마운트 옵션 편집 항목을 선택합니다.


이 경우는 이미 설정을 해놓은 상태로  자동마운트 옵션 설정을 컴으로 선택후 시동시 마운트 옵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에서 보이기 옵션을 선택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위에서 제가 말한 문제점인 음악목록을 불러 올수 없는 문제는 마운트 지점에 대한 값(마운트 지점항목의 뒤 알파벳과 숫자) 의 경우가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후 재부팅을하면 항상 파티션이 마운트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추가 : 제 경우는 파티션을 크게 3부분으로 할당하였습니다. 윈도우 설치 파티션,리눅스 파티션, 파일 저장 파티션으로 설정을 했습니다

리눅스 에서 윈도우의 파티션이 파일탐색기 항목에서 완전히 보여지지 않길 바라신다면 윈도우가 설치된 파이션의 마운트 옵션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에서 보이기 항목을 해제 하면 Lubuntu 에서는 해당파티션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상입니다.








Posted by 생각처럼
, |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의 파일과 설치시 실행되는 스크립트 가 압축되어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진것이 .bundle 이다

 

.bundle 파일을 설치하려면 콘솔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udo sh 설치하려는파일명.bundle 

을 실행하면 콘솔창에서 프로그램 설치를 컨트롤 하게 된다.


Posted by 생각처럼
, |

노트북에 우분투 설치시 항상발생되는 문제점인 와이파이와 그래픽 카드 지원등의 문제점은

인터넷을 검색하며 여려가지 방법으로 해결을 하고 

그러다보니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오히려 시스템을 뒤죽박죽 만드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

우분투는 원래  친 사용자적인 OS 로 알고있고 설치도 쉽고 사용하기 쉽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OS 인데

버전업을 할수록 설치시 발생하는 문제점 및 호환성 측면에서 불명확한 느낌을 많이 준다.


이번에도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하며 이전 버전에서는 잘동작하던 무선랜이 대체 왜 안될까 고민을 했는데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한 곳에 있었다

우분투 초기 설치시 하단에 서드 파티 소프트웨어 설치 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설치했더니 발생한 문제였다

우분투에서 저작권이나 복잡한 라이센스 사용 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하지위해 

우분투 에서 만들어지지않는 소프트웨어 호환성 을 위한 라이브러리나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설치를 사용자 의사에 따라 결정하게 하기 때문에 이부분을 대충 읽고 넘어가서 발생한 문제들이 였다.

Posted by 생각처럼
, |

우분투 설치시 와이파이 드라이버를 잡지 못하는 문제

12.10 버전의 우분투로 넘어오면서 브로드컴 무선 드라이버 사용하는 노트북에서 문제점 발생

해결방법은 아래의 url 참조

http://kwanseob.blogspot.kr/2012/11/1210.html

Posted by 생각처럼
, |

많은 방법이 있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현재 접속하려는 문자의 인코딩 방식을 설정해주면서 접속하는 방식으로 해결


luit -encoding eucKR -- telnet 접속하려는주소


이런 형식으로 접속하면 해당 서버가 eucKR 방식의 인코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면 같은 인코딩 방식의 접속이기에 한글이 깨지지않는다.



Posted by 생각처럼
, |

(쉘 스크립트 실행  파일) "명령어;추가하려는 명령어"

Posted by 생각처럼
, |

VLC 미디어 플레이어

편리한 사용방식도 중요하지만 간단히 설정만으로 자막 변환 없이 볼수 있는 장점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간단히 다운가능



우분투에서도 편리하게 영화를 볼수 있어서 좋은것 같다

Posted by 생각처럼
, |

특별한 설정없이 adb 연결이 완료된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연결된 디바이스에 출력된다.

AndroidManifest.xml 파일에 android:debuggable="true" 같은 구문추가는 없어도 된다!ㅎ

또한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 에 Virtual Device 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TestDevice 를 아래와 같이 생성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단말기에 프로젝트 가 출력된다.



Posted by 생각처럼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